어린이과학동아
"자기"(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기자단 마지막14째 오프라인 미션! His Youth의 강의를듣다기사 l20240910
- . 2=농도 변화에따른 점성비교 (전기장을 가한경우) 3= 식용유 첨가 점성 비교 4= 식용유 첨가 점성 비교 (전기장을가한 경우) 5= 자기장 세기에 따른 점성비교. 탐구결과 : 전분 1.8kg _1.79 전분2.0kg. _1.88 전분 2.2kg. _1.89 장점 1 = 오염물질 차단 장점2= 더단단한 상처 봉합 장점3=점성의 다양한 ...
- 저는 목소리가포스팅 l20240909
- 여자치고 저음이랍니다.고음도 잘못해요ㅋㅋ여러분들은 자기 목소리에 만족하시나요??전 완전 만족이랍니다앙 낮은목소리가 오히려 좋아요^^ㅋㅋ ...
- 우주인의 삶, 알아보자기사 l20240905
- 샤워합니다. 2.대소변 보기: 우주에서는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공기를 사용해 흡입식 화장실을 사용합니다. 3.잠자기: 우주에서는 미세중력 상태이기 때문에 침대에 누워서 잘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대신에 매달려서 잡니다. 천 안에 들어간 후에 끈으로 몸을 고정 시키고 매달려서 잡니다. 4.밥 먹기 : 우주인들은 지구처 ...
- 우주를 사랑하는 학생들이 모인 자리, 대전 국립 중앙 과학관 사이언스 홀에서 열리다.기사 l20240905
- 총 10팀인데, 그 중 제가 가장 관심있게 본 팀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번째 팀은 시리우스 팀으로 ’우주 정거장에서 꿀잠자기‘를 연구한 팀입니다. 시리우스 팀의 실험 방법은 우주정거장과 유사한 환경을 만든 뒤, 그 환경에서 풍선을 넣어 제작한 압박 침낭과 일반 침낭에서 각각 수면을 취하고 수면 지수를 측정하는 것이었습니다. 실험을 통해 두 ...
- 보령 현장 미션: 아이들의 꿈을 우주로기사 l20240903
- 비율을 다르게 하고 농도의 차이를 두었고 거기에 전류를 흘러 보내고 또 식용유를 첨가한 상태여서 자석의 갯수를 다르게 하여 자기장의 세기 차이를 두었습니다. 첫번쨰 탐구 실험 결과 전분의 양이 많을수록 점성이 커지는 결과 전류를 흘려 보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식용유를 많이 참가할 수록 점성이 커진 결과. 전류를 흐러 보냈을 때도 같은 ...
- 대한민국의 하늘을 연결하다, KVN 전파천문대기사 l20240903
- 액체 등 물질의 빠른 흐름을 말하는데,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질이 방출되어 만들어집니다. 블랙홀 주변에는 강력한 자기장과 블랙홀의 서로 영향을 주며 강력한 제트 방출 현상이 발생합니다. 사진출처: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에 의하면 위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11년 주기로 M87 블랙홀이 팽이처럼 흔들리며 회전하는 것을 23년 동 ...
- his youth 우수 참가자 연구 발표와 이효종 대표님과 안효종 박사님의 강연기사 l20240901
- 숙면을 돕는 제품을 만드는 일을 하였습니다. 향기로운 우주 팀은 여러가지 꽃과 향수의 향기를 섞어 수면 향수를 개발 하였고 자기 전 몇번 흡입을 하고 자면 수면제보다 안정적인 수면이 가능한것을 알아 내었고 렘 수면 주기가 더 길어진 것도 확인 되었습니다. 그리고 수면제는 부작용이 많지만 향기로운 우주 팀이 만든 향수는 부작용이 없기 때문 ...
- 아이패드와 삼성탭포스팅 l20240828
- 아이패드 쓰시는 분은 많이 없으신거 같은데 삼성탭 쓰시는 분은 많은거 같더라구요?자기는 무슨 탭 쓰는지 알려주세요!참고로 저는 아이패드:) ...
- 하코다테 국제 과학제는 무엇을 할까?기사 l20240828
- 알고 직접 만들어보니 너무 신기하였습니다. 다만 매우 낮은 온도의 물질을 사용하는 만큼 실험과정에서 더 주의해야만 했었습니다. 자기부상열차처럼 둥둥 떠다니는 초전도체 자석을 만들어보는 과정은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꿈의 물질이라고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를 볼 수 있는 날도 빨리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과학제를 마친 후 하코다테 산으로 ...
- [우주기자단] 거대한 망원경! 전파망원경 KVN 탐방!기사 l20240827
- 이렇게 여러 다른 방법으로 찍은 사진자료들을 모아 천체에 관해 더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네 곳에 KVN이 설치되어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오늘 방문한 연세대 전파망원경, 제주에 있는 KVN, 울산대 KVN, 그리고 마지막으로 강원도 평창(서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