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실험"(으)로 총 2,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ROBOT! 너는 누구니? - 보행로봇8 로키기사 l20230717
- 유아린 기자입니다. 저는 저번 섭섭박사 실험실 이벤트에서 보행로봇8 로키 에 당첨되었습니다. 만들기를 좋아하여 오자마자 만든다고 사진은 많이 찍지 못했지만 재밌게 읽어주세요! 우선 로봇이란 나무위키 정의로는 로봇의 정의는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는 것을 말하며 의미상으로는 기계의 하위 범주에 위치한다’ 고 되어 ...
- 로켓이란? 인공위성이란? 우리나라 하나뿐인 나로 우주센터 우주 과학관기사 l20230716
- 해요. (출처:제가 찍었습니다.) 이 사진은 나로호 2차 실패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시험한 로켓 모습입니다. 실제로 폭파해보고 실험했던 거라 새카맣게 타 있습니다. 2층은 인공위성과 우주공간에 대해 알려줍니다. 우주 정거장을 전시해 욕실, 화장실 등을 볼 수 있어요. 화성 탐사 로봇을 직접 조종할 수도 있고요. 인공위성에 관한 체험시설들도 ...
- 동물이 사라진 실험실???기사 l20230714
- 예상되는 후보 물질을 동물실험 없이도 쉽게 추릴 수 있다. 또한, 인간이 직접 실험을 진행하지 않고,인공지능이 자체적으로 실험을 진행한 후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앞으로는 새로운 질병에 대한 신약이 더욱 빨리 개발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동물들의 희생으로 우리가 이렇게 편히 살고있습니다. 그러나 동 ...
- (챌린지) 종자의 비밀을 밝혀내다, 우장춘 박사님.기사 l20230714
- 분석"이라는 박사 학위 청구 논문을 통해 '종의 합성' 이론을 제시한 것입니다. 배추와 양배추의 교잡을 통해 이미 존재하는 유채를 실험적으로 만들고, 그 과정을 유전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그 동안은 카더라였던 종간 잡종의 매커니즘과 종의 합성이 실제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밝혔지요. 주요 배춧과 작물의 게놈 관계도가 삼각형의 관계를 이룬다 ...
- (챌린지)이호왕 박사님, 한탄바이러스 첫 발견기사 l20230714
- 연구한 끝에 11마리에서 바이러스 정체를 밝혀냈습니다! 모두 등줄쥐 폐에서 얻은 것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반년 동안 확인 실험을 한 끝에 1976년 유행성출혈열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Hantaan virus)를 발견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세계 최초의 발견이었다고 합니다. (한국을 빛내다) 박사님께서는 1979년에는 ...
- 세계 최초 한국형 육아방 연구에 주목! 기사 l20230712
- 때문에 방수력이 있습니다. 노랑점나나니는 오로지 진흙으로만 집을 짓기 때문에 잘 녹습니다. 정말 그런지 연구원님께서 직접 실험으로 확인시켜 주셨는데요. 호리병벌의 둥지와 노랑점나나니의 둥지를 물에 넣어 확인하는 방수력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실제로 노랑점나나니의 둥지는 물에 넣은 순간 녹아버리는 반면, 호리병벌은 약간의 가루만 흩날릴 뿐 전혀 ...
- [챌린지] 우장춘 박사님은 어떤 업적이 있으실까?기사 l20230711
- 게놈 분석"이라는 박사 학위 청구 논문을 통해 '종의 합성' 이론을 제시한 것이죠. 배추와 양배추의 교잡을 통해 이미 존재하는 유채를 실험적으로 만들고, 그 과정을 유전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그 동안은 카더라였던 종간 잡종의 매커니즘과 종의 합성이 실제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주요 배춧과 작물의 게놈 관계도가 삼각형의 관계를 이룬다고 ...
- 노랑점나나니벌 현장교육에 다녀왔어요기사 l20230703
- 바로 녹아서 물이 뿌옇게 되었습니다. 호링병벌 둥지는 방수력이 강해서 물에 잘 녹지 않았습니다. 설명만 듣는 것이 아니라 직접 실험을 해주셔서 이해가 훨씬 쉬웠습니다. (사진 설명 : 왼쪽 - 호리병벌의 집은 물에 강하고, 오른쪽 -노랑점나나니벌의 집은 물에 약해서 금방 녹았습니다) 그리고 말벌의 둥지는 ○ 동그랗게 생겼는데, ...
- 카드에 자석이 있다고?기사 l20230701
- 자석을 문지르는 모습 자석을 문지른 후 철가루를 다시 뿌려봐도 자기띠가 잘 나타나지 않은 모습 카드 보다 통장으로 실험하니 더 확실히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걸까요? EBS. 과학땡Q. 본문 중 사진. 카드, 통장의 뒷면에서 볼 수 있는 이 '자기띠'는 마그네틱 선이라고도 합니다. ...
- 모차르트의 음악,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기사 l20230623
- 효과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프랜시스 라우셔 박사 연구팀은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꼭 모차르트의 음악 뿐만 아니라 다른 클래식 음악도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모차르트 효과는 완벽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출처 : https://th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