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망원경"(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럽우주기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만들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해. 그렇게 시작된 유럽우주기구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은 인공위성, 탐사선, 국제우주정거장 건설, 우주망원경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그 중에서도 화성과 금성, 달을 비롯해 수성에 이르기까지 여러 탐사선의 활동은 세계의 관심을 끌고 있지. 유럽우주기구를 대표하는 주요 탐사선의 활동을 알아볼까? 저는 ...
- 나사 50주년 기념, 최고의 명장면 50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나선 은하의 충돌 1999년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찍은 나선 은하 NGC2207과 IC2163의 충돌 모습. 나사와 유럽우주국에서 함께 개발한 허블우주망원경은 현재 지구 대기권 밖에 있으며 지상에서 얻을 수 없던 정밀한 관측 자료를 보내오고 있다. 목성의 대적점 목성에 있는 붉은색 타원형 반점인 대적점은 목성의 빠른 자전 때문에 대기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초신성의 찌꺼기예요. 이 초신성 찌꺼기는 1000년보다 더 오래 전에 별이 폭발하면서 생겼는데, 그 가운데 아주 얇은 부분을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거랍니다. [소제시작]100년 전 퉁구스카에선 무슨 일이? [소제끝] 헬리콥터를 타고 둘러보고 있는 이 곳은 시베리아 퉁구스카 강 근처 상공입니다. 저 아래 *타이가 삼림지대가 보이는군요. 지금 시각 ...
- 아침잠 못 자면 ADHD 심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612
- 좋아요. 이번에는 뉴질랜드와 칠레에 있는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했지만, 2013년에 미국항공우주국에서 발사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새로운 행성계에 가까이 다가가 관측하게 될 거예요. 그럼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 대한 좀더 자세한 정보와 외계 생명체에 대한 단서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 ...
- 흐린 날씨는 미역 탓?어린이과학동아 l20080530
- 각도는 27。로, 이 때 토성의 남극과 토성 고리의 남쪽면을 가장 잘 볼 수 있어요. 이 사진은 2003년, 토성이 최대로 기울어졌을 때 허블망원경이 촬영한 자외선 사진이랍니다. [소제시작]“쾅~!”충격파가 만든 우주 자기장[소제끝] 인간이 달에 발자국을 남긴 지 4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우주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신비로 가득합니다. ...
- 반짝반짝~ 별들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그렇다면 도대체 얼마나 눈이 부시고 아름다울까요? 은하와 은하가 만나는 그 현장으로 얼른 가서 확인해 봐요. 이 사진들은 허블망원경이 관측 활동을 시작한 지 18주년을 맞아 공개된 것들입니다. 더 많은 사진들은 http://hubblesite.org/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랑 춤추실래요? NGC 5257 처녀자리에 있는 두 개의 나선은하가 ...
- 한국 최초 우주인, 임무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이소연 누나는 4월 11부터 17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의 박일홍 교수팀이 개발한 특수 망원경을 이용해 초대형 번개를 관측했다. 이 망원경은 반도체 기술로 빛을 추적하며, 시야가 넓고 관측 대상을 순식간에 추적·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초대형 번개를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신소재 만들어 주는 무중력 공간 - 제올라이트 실험 제올라이 ...
- “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발견됐어요. 이 별은 3700년 전 폭발한 초신성 ‘퍼피스 A’에서 튀어 나온 중성자별로, RX J0822-4300라는 이름이 붙어 있어요.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이 별은 초속 1333㎞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해요. 과학자들은 이 별에 ‘우주 대포’라는 별명을 붙였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빠른 별은 주로 거대한 블랙홀이 별을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일본 등이 2020년경에 다시 인류를 달에 보낼 계획이다. {BIMG_l12}1546년 12월 14일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 출생 덴마크의 천문학자인 티코는 망원경이 발명되기 이전 맨눈을 이용해 가장 정확한 천문 관측 자료를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관측한 자료는 제자인 케플러가 물려받아 행성 운동의 세 법칙을 만드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아주 정밀하게 찍는 초고성능 카메라도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자 64쪽 참조). 이런 기술이 발전하면 미래에는 고성능 우주망원경이 지구를 돌며 밤하늘을 지킬 것이다. 소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한 뒤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행성을 지구와 다른 방향으로 보내야 한다. 영화처럼 폭탄을 쓰는 것은 좋지 않다. 궤도가 어디로 ...
이전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