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미
의의
취지
어의
의도
의향
뜻매김
어린이과학동아
"
뜻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죽뱜이요 ??
포스팅
l
20230728
아니 처음에 그 연령대 어린 친구들이 막 최뱜이아니라 죽뱜이라 그래서 처음에
뜻
이 죽는반모자 인줄 알앗다고요 ᆢ 나 늙음 ???? 근데 죽뱜 정확한
뜻
이 뭐에요 ...
존버가 무슨
뜻
인가요?
포스팅
l
20230728
도대체 존버가 무슨
뜻
인가요?
뜻
을 도저히 짐작할 수가 없어요 ...
[챌린지] 나비를 위해서라면 몸을 사리지 않은 석주명 박사님
기사
l
20230726
이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종이었으며 나비에 이름을 붙여주기로 했는데 이 나비는 오늘날에 지리산팔랑나비입니다. 이
뜻
은 지리산에서 처음 발견되고 팔랑나빗과의 한종이 때문입니다. (출처:네이처링) 그외에도 박사님이 이름을 붙인 나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실 이 외도 더 많은 나비가 있습니다. (출처:국립물자원관) 박사님의 가장 큰 업적 중 ...
챗지피티에게 우리나라 대표 친일파에 대해 알려달라고 했다
포스팅
l
20230726
근데 ai가 모르네ㅋㅋㅋ 말을 못 알아먹었나 싶어서 말을 바꿔 다시 물어봤습니다 대뜸 민족반역자=독립운동가로 설명하길래 낱말
뜻
을 모르나 싶어서 ? +쿠키 꼽주니까 알아듣네요 인간이 이래서 ai를 이길 가능성이 있는게 아닐까요 ... ...
훈민정음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30726
해요.(그 때는 중국에서 들어온 한자를 썼기 때문에 한자를 진짜 글이라는
뜻
의"진서"라고 불렀고 반대로 한글은 천한 글이라는
뜻
의"언문"이라고 불렀어요.)양반들은 한자를 자주 썼지만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은 문구를 잘못 읽어 벌을 받는 경우가 많았어요.그래서 훈민정음을 만들려고 하자,대신들이 "왜 좋은 글을 놔두고 새로운 글을 만드 ...
대한민국 역사 강사 설민석의 사건사고 & 역사 왜곡/오류
기사
l
20230724
읽어주는 남자'에서 주지육림(酒池肉林)을 '땅에는 술, 숲에는 고기'라고 해석했는데, 원래 의미는 '연못에는 술, 숲에는 고기'라는
뜻
이에요. 연못 지(池)와 땅 지(地)를 혼동한 것으로 보이죠. 바로 위에서는 못을 정확하게 적었기 때문에 교열하는 중에 실수한 것으로 짐작되요. 어때요? 대한민국의 최고 강사인 설민석이 이렇게 사건 사고가 많다니 ...
이성계의 조선 건국
기사
l
20230722
정몽주는 숙청을 안 시켰습니다만 이방원이 정몽주를 숙청 시켜야 한다고 주장, 하지만 이성계는 반대를 했고 결국엔 이방원이 자기
뜻
대로 정몽주를 선죽교에서 죽였습니다. 이후 1392년 7/17 공양왕이 이성계에게 선위를 하면서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습니다. 출처: 전주어진박물관 태조 어진입니다. 전주어진박물관에 가면 태조 어진을 실제 ...
[챌린지]유전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 박사님
기사
l
20230721
어머니는 일본이시지만 아버지는 조선인이라 어릴 때 아이들이 선생님에게 센진노코 라고 놀렸다고 합니다. 이는 조선놈이라는
뜻
이라고 합니다. 우장춘의 아버지는 우범선으로 명성황후를 죽이는데 도움을 주고 일본으로 도망쳤다가 조선의 자객에게 죽음을 당했습니다. 갑자기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는 우장춘의 형제를 기르는 게 힘들어 우장춘 선생님을 고아원 ...
과일 이름에는 어떤
뜻
이 있는지 알아보자
기사
l
20230716
이름도 동물과 관련이 있습니다. 코코넛은 16세기에 포르투갈의 탐험가가 발견한 과일입니다. 포르투갈어로 coco는 원숭이의 얼굴을
뜻
하는 말입니다. 그 탐험가는 어둡고 동그란 껍대기가 원숭이를 닮았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김윤아 기자였습니다 ... ...
김삼순 박사님
기사
l
20230715
박사가 되었습니다. 박사님은 한국으로 돌아와서 특출난 성과에도 불구하고 박사님이 있었던 서울대에 자리잡았습니다. 여선교육에
뜻
을 품고 서울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에 첫 성공을 거두엇습니다. 마지막으로 2001년, 김삼순 박사님은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