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대통령"(으)로 총 4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으앙ㅜㅜㅜ포스팅 l20200221
- 저희 동네에 코로나 확진자 산데여ㅜㅜ 이불밖은 위험해요ㅜㅜㅜㅜㅜㅜ 아니 원 무서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 문재인 대통령이 짜파구리 먹으면서 웃고있을 때가 아닌뎅,, ...
- 2019년 제41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를 다녀와서기사 l20191011
- 미래기술관3층에 전시될 예정이다. < 대통령상 수상작,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는 마스크 형태 탐구 작품 > ...
- "햄버거, 백악관 요리보다 좋아" 도널드 트럼프기사 l20190831
- 그는 선거에서 62,979,879표를 얻었는데, 이는 공화당 대통령 후보 역사상 가장 많은 득표로 당선된 것이었죠. 또 트럼프 대통령은 마가(MAGA)운동으로도 유명한데, 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강하게 만들자)의 약자입니다.그는 트럼프 기업의 대표이자 회장을 맡았으며 트럼프 엔터테인먼트 리조트를 ...
- 어서와 현충원은 처음이지? -현충원 호국행사기사 l20190820
- 포스터 앞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현충원의 정식명칭은 국립서울현충원입니다. 현충원에는 국가유공자를 포함하여 국가원수(대통령), 경찰관, 의사자, 국가사회공헌자분들을 모시고 있습니다. 현재 현충원에는 묘역, 위패봉안관, 충혼당에 182,379위가 모셔져 있습니다. ↑ 불꽃은 우리나라를 지키려 했던 호국영령의 의지를 불꽃으로 표현한 것과 그 위의 ...
- 일본 불매운동 [특집포스팅] 2부포스팅 l20190725
- 와....지난번에 댓글 5개 이상 달리면 이어서 쓰기로 했는데 학원 갔다 왔더니 댓글이 수북히 달려있어서 이어서 쓰겠습니다. 지난 번에 (제 포스팅 참고) 일제강점기 이야기까지 작성을 했습니다. 그 뒤로, 일본은 핵 사용을 금지당했고, 먼저 다른 나라 ... 전쟁은 99.999% 다이슨 공기청정기의 청정력보다 더한 백분율 수치만큼 일어날 확률이 ...
- 헌법에서 정한 기본권과 의무를 알아보자!기사 l20190708
- 4. 참정권-참정권은 참여+정치, 즉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예요. 나라의 주인은 국민이에요. 국민은 나라에서 중요한 정치나 대통령 선발을 할 때마다 선거를 하여 생각을 나타내요. 선거권이나 자격이 된다면 선거에도 나갈 수 있어요. 5. 청구권- 위의 권리들이 만약 위협받거나 침해받으면 국가에 어떤 일을 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예요 ...
- 트럼프 대통령 서울시청포스팅 l20190630
- 트럼프 대통령 2019.6.30.일요일 서울시청을 갔어요. 그래서 경찰들이 100명도 넘게 서있더라고요!!!!!!!!!!! 저희 아빠는 어제 줄을 섰어요.................. 서로 반대하는 사람도 있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더라고요! 남북 전상회담 때문에 왔대네요!!!!!!!!!!!! 쉬는 경찰들만 줄을 서서 좋아하는 사람과 반대하는 ...
- 오늘이 평화 1주년?!기사 l20190428
- 무슨 날인지 알고 계신가요? 오늘 (2019.4.28기준)은 바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판문점에서 만난 지 1년된 날입니다. 이 의미 있는 날을 기념하기 위해 행사가 있다는데요,바로 DMZ평화 인간 띠 잇기입니다. 인간 띠 잇기는 말 그대로 인간과 인간을 연결합니다.서로 손을 잡고 강원도 고성부터 인천 강화까지 연결합니다. 총 50 ...
- 두근 두근 기대되는 첫 취재 , 서울함 공원기사 l20190208
- 직접 구매하여 먹을 수 있어 인기가 많았고, 해군들의 생활공간도 엿볼 수 있어 재밌었습니다. 또 회의실에서 가장 앞자리 상석은 대통령이 와도 항상 선장의 자리로 지정되어 변하지 않으며, 응급수술시 회의실 테이블은 수술대로 변신한다는 것도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 (서울함 내부 해군들의 숙소) 설명 마지막에는 서울함 ...
- 서울에 있는 서울대, 경희대를 다녀와서기사 l20181104
- 경희대에 자신의 나라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건물을 세워달라 라는 말과 큰 돈을 주는데, 사우디아라비아의 전쟁이 끝나고 대통령이 건물이 잘 세워졌나 보려고 가는 순간에 우리나라가 전쟁이 일어나 건물을 못 세웠다는 말이 있는데, 이 건물은 다행이 14년 후에 세워졌다고 합니다. 서울대와 경희대는 다르지만 공통점도 많았습니다. 특히 경희대는 아픈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