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키"(으)로 총 1,90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페르시아 수학자 오마르 하이얌 이후 600년간 제자리였던 평행선 공리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김영욱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현대 관점에서 보면 ‘지오다노의 정리’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내로라하는 수학자들이 오랫동안 실패했던 문제를 아마추어가 한 단계 발전 ...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팬은 모두 흥 부자?마스에 열광하는 이유는 직접 보지 않아도 알 만합니다. 때로는 펑키하게, 때로는 감미로운 알앤비로, 때로는 자메이카 리듬의 레게음악으로, 때로는 팝과 힙합으로, 다양한 장르가 뒤섞인 노래로 팔색조 매력을 뽐내기 때문이지요. 이뿐이게요? 춤이면 춤, 드럼이면 드럼까지 못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방사화학실험실’이라고 불리는 이런 재처리 시설이 북한 핵시설 해체의 ‘키(key)’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 부장은 “강한 방사선을 내는 사용후핵연료와 플루토늄을 직접 처리하는 시설”이라며 “모든 북핵 시설 중에서 방사선 준위가 가장 높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용후핵연료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2와 2는 등호양 옆에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 공식을 얻을 수 있지요. 팔등신인 사람의 키만 알면 이 공식으로 얼굴 길이도 쉽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별거 아닌 것 같아도 그리스 수학자 탈레스와 에라토스테네스는 이 공식을 써서 거대한 피라미드의 높이와 지구의 반지름을 알아냈으니 정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색깔이 반은 하얗고 반은 까만가요?” 김민서 기자가 보존처리실 가운데 놓인 돌을 가리키자 김현용 연구사님은 보존처리실 한 켠에서 금속 막대기를 가져오셨지요. “아까 석탑에서도 이렇게 색깔이 다른 돌을 보았나요? 이건 탑이 만들어질 때 썼던 돌이 깨져서 보수 공사를 하며 새 돌을 이어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제24대 대한수학회장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공개키 암호를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양자내성암호(PQC)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보더라도 가상으로 만든 세계가 보이기 때문에 진짜로 가상현실에 와 있는 착각을 일으키지요. 덕분에 노래 가사 속에 있던 티라노사우루스의 특징을 꼼꼼하게 살펴볼 수도 있어요. 앞으로 교육 콘텐츠와 기술이 결합해 새로운 동요를 계속 만들어 낼 겁니다. 미래의 어린이는 어떤 동요를 들을까요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따르면 2차원 면으로 이뤄진 클라인 병 표면을 탐험하려면 우리가 점이어야 해서 그렇대. 키를 잴 수 있는 사람은 위, 아래라는 방향이 있기 때문에 클라인 병 위를 제대로 돌아다닐 수 없다는 거야. 뫼비우스 띠 위를 기어 다니는 개미 그림을 본 적 있지? 수학을 소재로 작품 활동을 해서 유명한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되지만 구조적으로 10과 15를 더한 값에 12345라는 큰 수의 배수를 더한 값이기 때문에, 비밀키(12345)로 암호를 해독하면 답은 25라는 점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즉,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를 더한 결과와 (10+15=25) 암호화한 정보를 더한 뒤 암호를 푼 결과가(25) 같다. 암호가 걸린 상태에서도 분석이 ... ...
-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 결과 평균 380℃에 달하는 물을 쏟아내는 열수분출구를 새로 발견하고, 열수생물인 ‘키와게’와 ‘일곱 다리 불가사리’도 찾아냈지요. 이들은 햇빛이 닿지 않는 심해에서 열수분출구 주변의 미생물을 먹으며 살고 있었답니다. 남극특별보호구역 171, 펭귄마을을 소개합니다!세종과학기지에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