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진행
경과
강좌
진로
코오스
길
d라이브러리
"
코스
"(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대표적인 과학엘리트
코스
인 과학고 과기원 입학시험을 무사히 통과하려면…과학고 - 주관식 비율 50%로 높아질듯금년도 과학고 1차시험은 11월 8일에 전국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원서접수는 10월 말까지(10월 21일~31일).전국의 과학고에 입학하려면 까다로운 지원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확고한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아이린과 사귈 때의 에피소드도 특유의 유머로 묘사해놓고 있다."…나는 아이린과 제트
코스
터를 타러 가는데 성공했다. 내딴에는 꾀를 쓴 것이었다. 열차가 하늘에서 곤두박질 칠 때 아이린은 무서움에 질린 나머지 내게 매달릴 것이고, 나는 그 틈에 키스를 할 작정이었다. 그러나 막상 열차가 ... ...
위험을 알 권리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일이다. 일주일에 적어도 하루 이상 골프를 즐기는 사장님의 경우라면 천둥이 칠 때 골프
코스
에 있을 확률이 보통 서울 시민보다 높을 것이고, 벼락에 맞을 확률도 보통사람보다는 훨씬 높을 것이다.사람은 일상생활에서 너무나 많은 위험을 감수하면서 살아야만 한다. 길을 걸을 때나 자동차를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프랑스 학술원이 받아들여 면의 주성분을 cellulose라 명명하였다. 셀룰로오스의 ose는 글루
코스
프락토스에서 처럼 당(糖)의 이름에 쓰이는 어미이며, 셀룰로오스는 실제로 '중합된' 당인 고분자다. 면으로 시작된 근대 섬유산업도 고무산업과 비슷한 때에 발전하였다.1846년 스위스 바겔대학 교수였던 ... ...
교사 스스로 수업형태 개선해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보고 들은 내용인데.사회 : 시간과 일정은 적당했나요?민지 : 전 적당했던것 같아요. 당일
코스
로 시간을 잘 활용했다고 생각됩니다.지은 : 수업이 끝나자마자 가서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차를 타고 여러군데를 돌아다녀서 넉넉한 마음으로 관찰할 수 없었고요.정화 : 슬라이드도 자주보면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일본학생들을 위한 3박4일간의 주니어
코스
와 아카데미
코스
수료비가 각각 5만엔(약30만원), 5만5천엔이나 한국학생들의 경우 기간을 단축하고 수료비를 더 인하한 상품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힌다.오늘날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격차는 특정분야를 제외하고는 흔히 10년 ... ...
희귀생태계 간직한 알다브라, 관광지로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식물군락과 쥐 나비 기타 해양생물들이 살고 있다.한편 세이셸 기금측은 알다브라 관광
코스
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관광객들은 먼저 세이셸제도의 수도인 마에섬에서 알다브라와 27km 떨어진 어섬프션 섬까지 1천km 거리를 비행기로 날아간 뒤 여기서 특별제작된 범선을 타고 알다브라로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도동에서 출항한 배는 섬의 남쪽인 사동과 통구미, 남양을 역(逆)시계 방향으로 도는
코스
를 택했다. 통구미에는 현무암질 집괴암이 두드러지며 시 스택(sea stack)이 발달해 있다. 특히 해식 절벽에서는 타포니(taphoni)가 많이 관찰되는데 이는 바닷물 속의 염분이 풍화작용(salt weathering)을 일으켜 형성된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용암이 흐른 자태도 확인할 수 있다.13일경이 되면 폭풍의 바다 북쪽에 아리스 타르
코스
라는 분화구가 보인다. 이 분화구도 플라토와 함께 지각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근년에도 수많은 빛의 발광이 관측됐다. 이 부분에는 태양빛이 닿지않는 밤에도 빛의 점이 보여지기도 한다고 한다.보름이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과학기술의 종주국으로 부상한 미국으로의 유학은 해방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정석
코스
로 굳어졌고 '과학기술계에서 미국의 독주시대는 끝났다'고 평가되는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은 유지되고 있다.이에 대해 연세대 김관수 교수(화학과)는 "과학에 국경이 없다고는 하지만 화학 한 분야만 보아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