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d라이브러리
"
출력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비살상무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상부에 달린 고
출력
전자파 발생장치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해 약 100kW(킬로와트)
출력
의 95GHz 초단파를 발사한다. 발사된 초단파의 에너지는 피부 표피층에 흡수돼 열에너지로 전환되고 이 에너지는 통각 신경세포를 자극한다. 따라서 실제 물리적 부상 없이도 54℃ 화상 수준의 통증을 느끼기 ... ...
PART 1. 우리 시대 최고의 자동차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더많은 연료나 공기를 공급한다. 폭발력이 더 커진다. 연료의 폭발력이 높아지면 엔진의
출력
(엔진의 회전력)이 향상된다. 이는 엔진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열 발산을 쉽게 한다.커먼레일엔진(CRDi)은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압축장치와 분사장치를 이용한다. 커먼레일이라는 일종의 철로에 연료를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엔진까지 동력전달계 전부가 하이브리드 전기차용으로 개발됐다.엔진의 경우
출력
은 낮지만 고효율인 아트킨슨 사이클을 적용했다. 이 사이클은 1882년 아트킨슨이 제안한 내연기관 방식이다. 내연기관은 흡입-압축-폭발-배기 단계로 구동되는데 각 단계의 길이(시간)는 같다. 아트킨슨 사이클은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조재필 교수 연구팀이 탄소로 코팅된 단결정 나노입자 클러스터를 전극으로 이용해
출력
은 높고 충전시간은 짧은 리튬 2차전지를 개발한 것이다. 사실 2차전지 음극소재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 왔다. UNIST 교수진이 이것을 개발함으로써 연간 1000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창출했다. 게다가 ... ...
레이저 선배 ‘메이저’ 상온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주파수와 위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크기만 증폭한다. 하지만 초기엔 크기에 비해
출력
이 약해 효율이 떨어지는데다, 절대 영도(영하 273℃)에 가까운 온도와 극저압에서만 작동해 이용에 제한이 많았다. 메이저는 금세 빛(가시광선)의 파장을 중첩한 ‘레이저(1960년)’에 자리를 내주고, 이후 50년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있었다. 10펨토초 정도의 짧은 시간만으로 충분한 회절 신호를 얻을 수 있을 만큼 X선이 고
출력
이어야 하기 때문이다.[X선 회절로 얻은 정보를 컴퓨터 알고리듬을 통해 복원하면 실제 눈으로 보는 것 같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이미지를 복원한 모습.]현대과학기술은 나노가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넓히며 더 활약할 것이다. 힉스 자체의 특성을 밝히는 일도 최전선에서 할 것이다.더 큰
출력
을 지니는 고에너지 가속기 건설은 어떨까. 일단 새 가속기를 짓기는 쉽지 않다. 가속기는 거대 연구시설로,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를 할지 계획이 세워진 상태에서 건설된다. 그런데 힉스 입자 관측에 ... ...
나에게 꼭 맞는 이어폰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이 이어폰의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지 도통 알 수가 없다. 임피던스, 드라이버 장치, 정격
출력
등 모두 암호로 적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조금 더 비싼 것을 골랐던 독자가 있다면 다음 번에 이어폰을 살 땐 이 기사를 꼭 쥐고 가격대비 최고의 만족도를 주는 이어폰을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
출력
’한다고 설명했다”며 “하지만 디폴트 네트워크의 발견은 뇌에서 이런 입
출력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이 생각보다 작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즉 우리의 뇌는 외부 세계의 정보를 받아들인 뒤 이를 우리의 기억과 상상력을 동원해 ‘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적절한 대응을 한다는 것.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전기가 부족하면 부족한대로 쓰면 되지 않을까. 가전제품
출력
이 약해지거나 일부에서만 전기가 끊어지면 되지 않나. 왜 전기가 부족하다고 전체가 전기를 아예 쓸 수 없게 되는 걸까.[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국전력거래소에서 직원들이 ‘전력 일일 부하 현황’ 등 수시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