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용
선택
도입
수입
제창
선임
결정
d라이브러리
"
채택
"(으)로 총 1,02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시작됐다. 고래 연구는 야생동물 연구에서 가장 오래된 분야다. 이 때문에 위원회가
채택
하고 있는 보존 및 관리 방법은 최고의 과학적 지식에 근거하고 있다. 연안국이 직접 관리해온 소형고래의 경우에도 인접국 간 공조가 강조되고 있다.고래류는 해양생태계의 중심에 있다. 자연증가량을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출시한 TC1100은 사용자들에게 잘알려진 제품으로 통한다. 고효율 저전력 프로세서를
채택
하고 있어 1회 충전으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 핫스왑이란 기능이 있어 다쓴 배터리를 바꿔낄 때에도 전원을 끌 필요가 없다.LG IBM의 X노트 LT시리즈도 최근 유명세를 타고 있다. 인텔 센트리노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장비에 대한 실험을 하게 될 수도 있다. 간단한 임무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공모해
채택
할 계획도 있다. 이렇게 획득한 유인우주기술을 바탕으로 2030년 우주공장모듈과 2040년 우주항공기 개발도 국제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누가 한국 최초 우주인 될까? 키 1백49cm 이상의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내도록 설계됐다. 슈퍼카 엔진은 또 힘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일반차보다 많은 8-12기통을
채택
하고는 있지만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다. 더 많은 공기가 엔진에 들어가 더 높은 압력과 힘을 내게 하기 위해서다. 특히 얼마전 16기통과 18기통 엔진이 장착된 슈퍼카가 개발됐다는 소식이 보도되기도 했다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리프레시 주기라 부르기도 한다VGA는 MCGA를 채용한 IBM PS/2 모델 25와 30을 제외한 전 모델에
채택
하였다 VGA는 MCGA 모드와 함께 독특한 고해상도를 지원한다데이터를 기억장소에 써넣었다가 전원을 끄면 그 데이터가 곧바로 사라지는 반도체를 말한다전원을 끊어도 그 속에 있는 데이터가 없어지지 않는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게임, 무선 마우스로 가장 가까이 있는 컴퓨터를 조작하는 기술 등을 시연 프로그램으로
채택
했다.사카무라 겐 도쿄대 교수가 지난 1990년 기업들의 후원을 받아 시범 조성한 트론하우스도 이와 유사한 형태를 띤다. 기기에 손을 대지 않고 사용하는 터치리스 화장실,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열리고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트론이 이미 들어가 있다. 현재 일본 전자제품의 50% 정도가 트론을 알맞게 변형한 OS들을
채택
하고 있다. 윈도나 리눅스가 컴퓨터 사용자들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반면 트론은 휴대폰이나 PDA 등 작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들어있어 눈에 띄지 않은 것뿐이다.트론 전시회가 지난해와 달라진 점이 있다면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나눈다 PC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는 1천2백bps급인데 비동기방식을
채택
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데이터는 10비트 따라서 1천2백bps는 초당 1백20바이트를 전송한다는 뜻이다 이 경우 흔히 쓰는3백60KB의 525인치 디스켓 1장을 전송하기 위해서 50분이란 시간이 소요된다DDD용 공중전화기에서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한계가 있었기 때문. 삼성전자의 듀오캠(DuoCam)은 캠코더로는 처음으로 이중 렌즈 방식을
채택
해 최고 4백만 화소의 정지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www.sec.co.kr허공에 그리는 마우스세계 최초의 3차원 무선마우스 Z3. 마우스가 기운 정도와 방향에 따라 센서가 X축, Y축, Z축의 변화값을 감지, 이를 토대로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서로 달랐던‘설날’이 1월 1일로 통일되기 시작하는 것은 16세기에 그레고리우스력을
채택
하면서부터다. 하지만 동시에 관습이 바뀔 수는 없는 노릇이었으므로 한 나라씩 차례로 바뀌다가 1918년에 러시아가 마지막으로 1월 1일을 새해의 출발점으로 정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