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변"(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황금못(Golden Spike). 앞으로 정해질 인류세의 GSSP에도 같은 생김새의 황금못이 설치되며, 주변 구역은 보호받는다. 또한 인류세의 첫번째 시기인 ‘절’은 발견 장소의 이름을 따서 불리게 된다. 만약 크로포드 호수 지층이 GSSP로 선정된다면, 우리는 ‘신생대 제4기 인류세 크로포드절’을 살게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진짜 성격이나 가치를 드러낸다고들 한다. 천문학자의 관점도 비슷하다. 중력을 통해 주변의 다른 천체와 우주적으로 교감하는 천체들에서는 고립된 별과 은하보다 많은 정보를 캐낼 수 있다. 다른 은하와 엮여서 움직이는 궤도를 통해 각 은하의 질량을 추정할 수 있고, 두 천체가 물질을 교환하며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취소한 일도 있으며, 독재자의 권력을 지키기 위한 핵무기는 막아야 한다는 신념을 주변에 자주 설파했다). 둘째, 이휘소가 목숨을 걸고 협력하지 않았다면 한국이 원자폭탄 만들기에 도전할 수 없었다(원자폭탄은 이미 1945년에 개발된 기술로 1970년대 입자물리학의 첨단 지식을 몰라도 충분히 만들 ...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금 윤곽이 드러나는 ‘한국 NASA’의 모습은 제가 아는 것과 달라 걱정이 큽니다. 주변 전문가 커뮤니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바로잡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그 그림자를 짙게 드리웁니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이 2022년 5월 1일 제 20대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아무도 집 밖에 나서지 않는다. 창밖으로 한강의 물이 넘실대고 있다. 이러다가 한강 주변도 물에 잠기는 게 아닌지 걱정이다. 20여 년 전 북극의 빙하는 완전히 녹아내렸고, 남극의 빙하도 50% 이상 없어졌다. 그 결과 뉴욕, 도쿄, 상하이 등의 도시들이 물에 잠기기 시작했고, 투발루와 키리바시 ... ...
- [이달의 뉴스] 공기 중 보이지 않는 통로로 강력한 레이저 전송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생성해 밀도가 낮은 공기 통로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밀도가 낮은 공기는 주변 공기보다 굴절률이 낮다. 때문에 광섬유가 하는 역할처럼 흩어지려는 레이저를 다시 중심부로 반사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저밀도의 공기 경로를 필라멘트라고 칭했다. 2014년에는 필라멘트 4개를 구축해 ... ...
- [기획] 암호화폐 벌면 기후변화 빨라지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가감속을 줄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변 차량과 교통 환경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차의 속도를 최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구상이다. ▲ 자율주행차량이 사용하는 라이다나 카메라 등의 센서가 고도 ... ...
- [기획] 이상 고온이 불러온 이상한 한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북극과 중위도의 온도 차가 줄어 제트기류가 눈에 띄게 약해졌거든요. 그 결과 북극 주변(고위도)에 머물던 찬 공기가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한 여러 나라에까지 내려온 거예요.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해 이례적으로 한반도의 동서로 두 개의 고기압이 벽처럼 발달하며 바람길을 막는 ‘더블블로킹’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로부터 16년 더 살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지푸라기라도 잡으려면 지푸라기가 주변에 있어야 한다. 홍 소장은 의학 외에도 반도체, 신소재연구 등 중이온가속기가 활약할 분야가 많다고 짚었다. “기초과학을 하다 보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옵니다. 기초과학을 이루기까지, 그리고 여기서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먹는 팝콘을 똑같이 따라서 먹었다. 다른 색 팝콘은 쳐다보지도 않고 말이다. 엄마가 주변에 없을 때도 결과는 같았다. 여기서 연구팀은 불확실한 정보를 가진 미성숙한 개체들이 사회적인 학습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엄마가 분홍색 팝콘을 먹더라도, 호기심으로 파랑색 팝콘을 한번쯤은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