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극성
대조성
역
d라이브러리
"
정반대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많이 발견되고 클론은 살기 좋은 지역에서 거주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를 해보니 사실은
정반대
였다.클론은 생물이 살기 힘든 지역에서 우세한 경향이 있고 유성생식형은 환경적으로 안정된 지역에서 생태적 지위를 차지했다. 어찌된 일일까?클론은 일반적으로 생물들이 살기 어려운 곳이나 짝을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이러한 사고방식이라면 79년 노벨상 수상자인 브라운 교수와
정반대
학설을 주장한 올라 교수가 과연 노벨상을 탈 자격이 있을까. 의학·생리학상/길먼과 로드벨세포간 신호전달의 열쇠 G단백질 규명올해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는 세포 사이의 신호전달 기능을 맡고있는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때문이며 □ 충돌 폭발은 적어도 5기압 이하에서 일어났음이 드러났다. 또 충돌 장소와
정반대
되는 북반구 43도 근처에 뜨거운 장소가 발견됐다.한편 작년 말에 김용하 교수와 필자가 한 학회에서 예견했던 ${H}_{3}^{+}$ 이온이 충돌장소에서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 분광관측으로 확인됐다.하와이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반대편에 꼬리를 형성한다.혜성의 꼬리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그 중의 하나가 태양과
정반대
방향으로 뻗은 이온 꼬리이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함에 따라서 코마를 형성하고 있는 입자가 태양의 강한 자외선 복사에 의해 (+) 전기를 띤 이온과 (-) 전자로 나뉘어 꼬리가 생겨난다. 이 꼬리는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때문에 소음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MHD 선박엔진은 MHD 발전과
정반대
로 이해하면 된다. 우선 터널 양쪽에 초전도자석을 설치하고 터널안에 강한 자기장을 형성시킨다. 여기에 발전기를 통해 만들어진 전류를 공급해 주면 터널을 통과하는 바닷물이 이온화되면서 빠른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대기중에 방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대기중 산소농도는 겨울처럼 이산화탄소 농도와
정반대
로 변화한다.그러나 대기중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녹아 들어가서 탄산염과 반응해 일어나는 흡수과정에는 산소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을 구별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 킬링 박사는 측정하기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관측하기에는 유리한 위치에 자리잡지만 하늘이 이미 밝아져버린 상태이고, 저녁에는
정반대
의 상황이다. 따라서 수성의 모습을 지구상에서 자세히 관측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수성도 달처럼 차고 이그러짐이 있지만 낮은 하늘 때문에 시잉 (seeing)이 나빠 잘 알 수 없다. 하지만 끈기있게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있음을 알고 놀랐었는데, 번식 후 자리를 떠난 쇠가마우지와 민물가마우지를 두무진과는
정반대
편인 용기원산 해안절벽에서 이번에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었습니다. 이 두 장소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관광지로 개방된 두무진에서 인간의 위협을 느낀 나머지 반대쪽으로 생활의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여기서 인공생명과 생물학이 생명을 연구하는 접근방법이
정반대
임을 알 수 있다. 생물학은 하향식(top-down)이지만 인공생명은 상향식(bottom-up)이다. 생물학은 개체 기관조직 세포의 순서로 계층을 내려가면서 구성 물질을 분석한다. 그러나 인공생명은 비선형적으로 ... ...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會合週期)라고 한다.한편 외행성은 내행성과는 달리 지구를 사이에 두고 태양의
정반대
에 있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것을 충(衝)이라고 한다. 충에 있을 때의 외행성은 해가 질 무렵 동쪽에서 뜨고 밤중에 남중한다.그러나 외행성의 시운동은 태양의 반대편에 나타나가도 하며 모두 서쪽에서 동쪽으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