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인류가 지구에서 한껏 번성했을 때, 그 숫자는 100억에 가까웠어. 그리고 지금, 지구상에 생존한 인간은 고작 30만 명이라고.”나의 두 번째 파트너였던 마거릿 왓슨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은 서력 2300년 11월의 일이었다. 23세기의 마지막 해이자, 인간의 마지막 세기가 저물던 시기였다. “30만 ... ...
- [시사과학] 항생제 중독에 빠진 강 제 2의 팬데믹 일으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1928년,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이 영국의 세균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의 손에서 탄생했습니다. 항생제는 이후 점점 더 발전하며 인류 수명을 크게 향상시켰어요. 하지만 사용하고 남은 약물이 제대로 처리되지 못한 채 전 세계 강 곳곳으로 흘러들어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슥슥 밀어서 재밌고 쉽게 배운다! 원소주기율표 퍼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섭섭박사님이 머리를 싸매며 주기율표를 외우고 있어요. 무작정 외우려고 하니 잘 안 외워지나 봐요. 그때 섭섭박사님의 머릿속에 재밌게 주기율표를 외우는 방법이 떠올랐어요! 그렇게 주섬주섬 ‘원소주기율표 퍼즐’을 가져오는데…. 만들어 보자!슝슝! 슬라이딩 원소주기율표 퍼즐원소주 ... ...
- [과학뉴스] 산호초와 말미잘, 선크림 기능을 반대로 사용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자외선 차단제(선크림) 성분인 옥시벤존은 산호초를 파괴하는 물질로 논란이 됐다. 팔라우 섬, 하와이 등 일부 섬나라에서는 옥시벤존 성분이 포함된 선크림 사용을 금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옥시벤존이 어떻게 산호에 독성 물질이 되는지는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 윌리엄 미치 미국 스탠퍼드대 ...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과학적인 근거는 전혀 없지만, 인간이 가장 출출함을 느낀다는 저녁 10시. 굶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을 켭니다. 매콤달달한 떡볶이가 한 접시에 1만 원, 그런데 배달비가 5000원입니다. 아참, 실수했습니다. 배달지를 집이 아니라 안드로메다 은하로 설정했나 봅니다.집에서 겨우 ... ...
- 부검으로 사인 밝히는 ‘동물 국과수’를 찾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경북 김천에는 조금 특별한 실험실이 있다. 실험대 위에는 마치 방송국에서나 볼법한 커다란 카메라가 설치돼 있다. 여기서 벌어지는 일은 이 카메라를 통해 빠짐없이 기록되고, 때로는 생중계되기도 한다. 모두 동물들의 억울한 죽음의 이유를 밝히기 위해서다. “잠시만요. 지금 막 사체가 도착 ... ...
- [기획] 다시 모인 과학자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의 끝이 보인다. 2년 1개월간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됐고, 5월부터는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됐다. 이에 웅크렸던 과학계도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강원, 제주를 비롯해 곳곳에서 학술대회, 박람회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고 있고, 학계와 ... ...
- [특집] 문명 백과사전 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과거 고대 유물들을 어떻게 해독했는지 알아봅니다. 여기서 단서를 찾으세요. 해독한 사람영국의 군장교이자 동양학자 헨리 롤린슨 해독 방법베히스툰 산 절벽에 새겨진 문자를 해독하기 위해 산 위에서 내린 밧줄에 매달린 채로 문자를 옮겨 적었다. 기원전 6세기 아시아에서 가장 큰 영토를 차 ... ...
- [화보] 사랑에 빠진 물고기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눈으로 보는 하늘’과 ‘사진으로 보는 하늘’은 다르다. 사진 촬영 기법과 구도, 색조, 명암, 형태에 따라 같은 하늘도 다르게 담긴다. 여기에 사진을 촬영한 사람의 감상과 스토리까지 더해지면 찰나의 하늘은 비로소 세상에 단 하나뿐인 작품이 된다. 올해 30회를 맞이한 천체사진공모전은 개성 ... ...
- [과학 뉴스] 울릉도 개구리는 침입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1월 24일, 어과동 지구사랑탐사대 참여 연구원인 중국 난징임업대학교 동물행동생태및보전연구실 배윤혁 연구원이 울릉도에 침입한 개구리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어요. 울릉도는 한 번도 육지와 땅이 연결된 적이 없는 화산섬으로 자기만의 생태계를 꾸려왔어요. 원래 울릉도에는 개구리가 살지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