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례
규정
인식
제전
양식
예식
각성
d라이브러리
"
의식
"(으)로 총 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환자가 당시 기억을 생생히 더듬어 내야 한다. 그런데 그 과정 이 고통스러워 환자는
의식
적으로 기억회상을 거부 한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정신과 전문의 스킵 리 초 박사는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참전용사를 위한 가상체험 치료시스템을 개발했다. 환자는 중동지역 을 배경으로 10가지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시름에 잠겼다. 세상을 완벽히 설명해준다 믿었던 물리학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위기
의식
이 점점 퍼져갔다. 이 런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 이제 오늘의 주인공, 막스 플 랑크가 등장했다. 난세의 영웅, 플랑크는 아무도 생각 하지 못한 방법으로 한계에 부딪힌 물리학이 나아갈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들을 누비는 모습은 수만 년 전부터 반복된 과정이다. 산을 좋아하는 중년의 사장님은 무
의식
적으로 원시 시대의 족장 역할을 하고 싶은지도 모른다. 게다가 산에서 내려오면 보통 고기를 구워 먹으면서 집단적인 여흥을 즐기고는 한다. 혹시 사냥감을 가지고 마을에 돌아와 벌이는 원시적 축제의 ... ...
[knowledge] 고난은 우리를 성장시키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게 중요하다. 혼자 이 과정을 거치면 설령 결과가 좋았더라도 속으로는 억울함과 피해
의식
같은 어둠이 마음속에 자리 잡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애초에 사람이 ‘혼자’ 온전히 이겨낼 수 있는 고난이란 없다. 따라서 고난 자체를 미화하고 이겨내길 강요하는 사회보다 고난에서 함께 벗어날 수 있는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복어의 내장과 알에 강한 독성이 있기 때문이죠. 잘못 손질한 복어를 먹고 죽거나
의식
을 잃는 사고가 끊이지 않습니다.물리학에도 복어처럼 치명적인 맛을 지닌 공식이 있습니다. 인류는 이 공식을 통해 우주를 이해하고, 전기를 만들었지만 동시에 끔찍한 무기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과연 오늘의 ... ...
[수학뉴스] 세계는 긍정적인 말을 더 많이 써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연구팀은 모든 언어의 평균점수가 5보다 크다는 점을 들어, 사람은 언어에 상관없이 무
의식
적으로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새롭게 탄생하는 언어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쓰일 전망입니다 ... ...
[과학뉴스] 영어가 성격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사실을 알아냈다. 새로 배운 언어가 성격에 영향을 준 셈이다. 연구팀은 “언어는 우리 무
의식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는 ‘심리과학(Psychological Science)’ 저널 3월 6일자에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이제 막 시작하는 분야입니다.”소비자의 행동은 합리적이지만은 않다. 상당부분 무
의식
에 기반한다. 설문지로는 파악할 수 없는 이 지점을 뉴로마케팅은 좀 더 정확히 포착할 수 있다. 때문에 윤리문제도 있다. “신상품에 대한 불특정다수의 반응이 궁금할 때 뇌파반응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치러야했기에 모두가 극단적인 거짓말쟁이가 되진 않았지만, 지금도 우리는 매일 무
의식
중에 의도적인 혹은 선의의 거짓말을 한다.인간의 속임수는 동물과 차원이 다르다. 상대방뿐 아니라 자신도 속일 수 있다. 심리학 용어로 ‘자기기만’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거짓말을 할 때는 티가 난다.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이 작품은 결코 예술의 범주에 들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인류가 ‘미’를 인식하고
의식
적으로 그것을 수집했다면?남아프리카공화국 마카판스가트 지역의 3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온 작고 붉은 조약돌은 그런 조건을 만족시킨다.움푹 들어간 부분이 꼭 부조로 만든 사람의 얼굴 모양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