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측하는 방식으로 외계행성을 찾았다. 태양과 같은 항성은 핵
융합
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낸다. 그래서 이런 항성 앞으로 행성이 지나가면 빛이 일부 차단되면서 항성이 깜빡거리는 것처럼 보인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이 현상을 포착해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이 있는지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민족은 해외의 우수한 기술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인 뒤, 이를 기존에 갖고 있던 기술과
융합
해 자신만의 기술로 재창조했다”며 “우수한 것을 받아들여 더 우수하게 재창조하는 우리 민족의 정신은 과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혼천시계는 이를 보여줄 대표적인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들여다보면 이 차이를 단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은옥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
연구실 선임연구원은 “깃털의 작은 깃가지 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케라틴 주변으로 멜라닌이 꽉 차 있지만, 이에 비해 털에는 멜라닌이 듬성듬성 있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멜라닌 자체는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doi:10.1002/adma.201605050 한편 이 선임연구원은 올해 4월부터 여종석 연세대 글로벌
융합
공학부 교수와 공동으로 ‘저전력 디스플레이 소재개발을 위한 파란색 깃털 구조색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깃털의 파란색은 대부분이 색소가 아닌 구조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구조색 연구에서는 파란색에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선택했고, 부전공으로 생물학까지 이수했다.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기술(IT)을
융합
한 생물정보학 연구에 최적화된 셈이다. 김 교수는 “크리스퍼(CRISPR-Cas9)로 대표되는 유전체 교정 기술을 함께 이용하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유전형과 표현형의 연결고리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직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충남대학교병원은 이미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표준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 기관과
융합
연구를 해오고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기계연구원과는 다리를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장애인을 위한 로봇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2018년 1월부터 시작된 수학자와 의사들의 의료수학 공동연구는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과학자로는 두 번째로 선정되기도 했다. 박태현 교수는 생명공학 기술과 나노 기술을
융합
해 바이오 전자 코, 바이오 전자 혀, 인공 망막 등을 개발하고 있다. 박 교수팀은 2015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그래핀에 특정 냄새 분자를 맡는 인공 후각수용체를 결합해 바이오 나노 전자 코를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보온력을 타고났다. 그 중에서도 으뜸은 솜털이다. 이은옥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
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여러 솜털끼리 얽힐 때 그 사이 공간에 공기가 갇힌다”며 “게다가 솜털 내부에도 수없이 많은 ‘공기방’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깃털의 깃가지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기간동안 5개의 연구 수업을 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가 과학창의재단에서 지원하는 ‘
융합
인재교육(STEAM) R&E’였다. 1년 동안 하고 싶은 주제를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데, 이 씨는 유기 용매를 친환경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그는 “이제까지 논문에 나오지 않았던 걸 찾아내는 방법을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독서다. 이는 단순히 학업적인 차원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현행 교육과정은 창의
융합
형 인재 육성에 방점이 찍혀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이 현행 입시의 ‘대세’가 된 것 또한 이런 교육과정의 방향 때문이다. 많은 학생이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해 학교생활 중 다양한 활동에 도전한다. 하지만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