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융합"(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보온력을 타고났다. 그 중에서도 으뜸은 솜털이다. 이은옥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여러 솜털끼리 얽힐 때 그 사이 공간에 공기가 갇힌다”며 “게다가 솜털 내부에도 수없이 많은 ‘공기방’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깃털의 깃가지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충남대학교병원은 이미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표준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 기관과 융합 연구를 해오고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기계연구원과는 다리를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장애인을 위한 로봇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2018년 1월부터 시작된 수학자와 의사들의 의료수학 공동연구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태양이 사라질 지도 모른다는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태양의 중심부에서 수소의 핵융합으로 발생한 에너지는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는데, 지구에 도달하는 양은 그 에너지의 20억분의 1 정도다. 이때, 단위 시간 동안 지구 대기권 밖에서 태양 광선에 수직인 면적(단위면적)에 도달하는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측하는 방식으로 외계행성을 찾았다. 태양과 같은 항성은 핵융합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낸다. 그래서 이런 항성 앞으로 행성이 지나가면 빛이 일부 차단되면서 항성이 깜빡거리는 것처럼 보인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이 현상을 포착해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이 있는지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doi:10.1002/adma.201605050 한편 이 선임연구원은 올해 4월부터 여종석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와 공동으로 ‘저전력 디스플레이 소재개발을 위한 파란색 깃털 구조색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깃털의 파란색은 대부분이 색소가 아닌 구조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구조색 연구에서는 파란색에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로봇 회사인 사이버다인이 개발한 ‘할(HAL)’이 대표적이다. 황한정 금오공대 메디컬IT융합공학과 교수는 “이런 웨어러블 로봇들의 경우 일어나려는 의도만 있어도 근육 측정 센서가 이를 감지해 원하는 방향으로 모터가 기계적인 힘을 더 실어주기 때문에 일어서고 걸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배우는 내용은 다르지만, 수학과 과학반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를 체험할 수 있는 융합형 캠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2일 동안 진행되는 캠프에서는 첨단 과학기술 체험과 예술 분야 특강 등을 통해 관심의 폭을 넓힐 기회가 주어진다. 또 다른 특징은 끈끈한 선후배 관계다. 과학전시관 영재교육원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들여다보면 이 차이를 단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은옥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은 “깃털의 작은 깃가지 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케라틴 주변으로 멜라닌이 꽉 차 있지만, 이에 비해 털에는 멜라닌이 듬성듬성 있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멜라닌 자체는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를 통해 향후에는 형질전환 동물도 생산할 수 있다. 실시간유전자증폭시스템, 세포융합기 등 장비가 갖춰져 있다. 실험용 영장류 확보, 갈수록 어려워져 실험동물로서 영장류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 예로 미국 농무부(USDA)가 올해 9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학자로는 두 번째로 선정되기도 했다. 박태현 교수는 생명공학 기술과 나노 기술을 융합해 바이오 전자 코, 바이오 전자 혀, 인공 망막 등을 개발하고 있다. 박 교수팀은 2015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그래핀에 특정 냄새 분자를 맡는 인공 후각수용체를 결합해 바이오 나노 전자 코를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