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언어"(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반려동물] 동물 행동 훈련으로 반려견의 마음을 살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거예요.”개는 인내심에 한계가 오면 사람을 물 수도 있어요. 따라서 보호자는 개들의 언어를 이해하며 통제하는 법을 배우고, 반려견이 어릴 때부터 적절한 훈련을 시켜야 하죠. “보통 생후 2주부터 12주까지를 사회화 시기라고 해요. 매일 세상을 열심히 배워나가는 시기라 ‘사회화’라는 이름이 ... ...
- [핫이슈] 아들과딸북클럽 LG클로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음성을 듣고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기술’과 컴퓨터의 언어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바꿔 말하는 ‘음성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사람과 대화해요. 또 집안의 여러 전자기기와 연결된 인공지능 스피커는 사람의 요청에 따라 TV와 전등 등을 원격으로 ... ...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글로만 전달되어,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가 힘들어요. 이때 이모지가 표정처럼 비언어적 의사 소통의 역할을 한답니다. ● 인터뷰 "내 모습을 이모지로 만들어 보세요!"_왼쪽부터 임진호, 최민석(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실), 이민경(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모바일UX센터)미래의 이모지는 어떻게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아이팝콘’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미디어 랩에서 만든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를 이용하는 코딩 제품이에요. 아이팝콘은 아이팝콘 기기와 아이팝콘 앱으로 구성돼 있어요. 아이팝콘 기기에는 버튼과 가속도, 기울기, 자기장, 빛의 밝기, 온도, 기압 등을 측정하는 7개의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고유한 그림 문자예요. 컴퓨터에서 쓰이는 표준 언어 코드인 ‘유니코드’에 입력되어 있어 여러 기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요. 이모지는 일본의 디자이너 구리타 시게타카 덕분에 세상에 널리 퍼졌어요. 일본의 통신 회사 NTT 도코모에서 일하던 그는 199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픽토그램 ·적혈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pictogram) 언어가 통하지 않는 나라로 여행을 떠났는데 화장실이 급하다고 상상해 보세요. 다행히 화장실 앞에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 붙어 있어요. 어떤 사람이 보더라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그려진 그림 문자를 픽토그램이라고 해요. 관광지나 공공장소에서 쉽게 볼 수 있지요.픽토그램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평면에 그릴 수 있는 그래프를 ‘평면 그래프’라고 부릅니다.이제 4색 문제를 그래프의 언어로 바꿔봅시다. 원래는 나라에 색칠했지만, 이제는 그래프의 꼭짓점에 색칠합니다. 이웃한 나라는 다른 색이므로, 선으로 연결한 두 꼭짓점도 다른 색이어야 합니다. 이렇게 바꾸면 이 문제는 그래프의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문제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물리적으로 측정하면 어떤 컴퓨터,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썼는지에 따라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고리듬에서의 시간은 알고리듬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연산 횟수를 ‘함수’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위 상황에서 단순탐색법은 10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위해 이 사고실험을 만들었습니다.그러나 중국어 방을 인간에게 적용하면, 인간 역시 언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건지 불확실해집니다. 우리는 스스로 의식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뇌가 그저 정해진 대로 입력에 따른 출력을 내놓고 있을지 어찌 알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이 인간이 될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개나 되기 때문이에요. 그때마다 각도를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김 작가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으로 매듭의 개수에 따른 모든 형태를 보여주는 ‘매듭 제네레이터’를 제작했습니다. 이를 이용해 매듭의 모양을 보고 가장 아름다운 구조를 선택한 뒤, 매듭을 구성하는 셀의 각도를 일일히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