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황"(으)로 총 6,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퀘스터, 미션 깨는 가상 실험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없었다. 고장 난 채로 방치된 현미경은 학생 대부분이 제대로 된 실험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가상실험, 학습 효과 201% 향상시킨다 이 대표와 같은 ‘과학덕후’에게만 실험이 재밌는 게 아니냐는 다소 짓궂은 질문에 이 대표는 진지하게 답변했다. “교사가 대면으로 지도를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걸 생각해 보는 거지요. Q. 수학 개념을 배웠는데, 이해가 안 되면요? 저는 이런 상황을 조금 힘들어하는 편인데, 일단 그 개념을 외워요. 그리고 여러 문제를 풀면서 그 개념을 사용해요. 물론 처음에는 문제를 못 풀지만 계속 시도하다 보면 어느 순간 그 개념의 정의가 직관적으로 와닿을 때가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침해같은 중차대한 수준에서 다뤄질 것이다. 내 궤도 공간에 누가 함부로 침입하는 상황이니 말이다. 한편 우주와 지구는 서로 통신으로 연결돼야 한다. 특히 초광대역 레이저 통신이 이 둘 사이에서 일어날 때 신경을 안 쓸 수 없는 존재가 바로 ‘대기’다. 지구의 생명이 숨 쉬고 살아가는 데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원래 자신의 운동에너지로는 통과할 수 없었던 높은 에너지 장벽을 빠져나갈 수 있다. 이 상황이 에너지의 장벽에 터널을 뚫고 지나가는 것처럼 보여 ‘양자 터널링 효과’란 이름이 붙은 것이다. 2021년 방영한 드라마 ‘시지프스: the myth’의 주인공 한태술은 기업 ‘퀀텀 앤 타임’을 설립한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내털리 카넴 유엔인구기금(UNFPA) 사무총장이 말했듯, “인구가 너무 많아 자원이 부족한 상황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인구 자체가 두려움의 원인은 아니다”. 결국 ‘80억이 많은가?’, 혹은 ‘지구의 적정 인구는 어느 정도인가?’라는 질문은 우리가 앞으로 어떤 수준의 생활을 누리고 살 ... ...
- [만화 뉴스] 퀘타, 론나, 퀙토, 론토…, 새로운 단위 표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4개를 추가했어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접두어로는 수를 표현하기 번거로운 상황이 생겼기 때문이지요. 접두어란 1000m를 1km로 쓸 때 사용하는 k(킬로), 1000분의 1m를 1mm로 쓸 때 사용하는 m(밀리) 등 수를 표현할 때 쓰죠. 이번에 추가된 퀘타와 론나는 각각 1030●, 1027을 의미하며 퀙토와 론토는 ... ...
- [가상 인터뷰] 세로토닌 억제 물질로 모기 개체 수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정확히 수컷 모기의 어떤 영역에서 세로토닌과 관련된 반응이 일어나는지는 아직 모르는 상황이야. 연구에 참여한 매튜 수 박사는 “모기의 특정한 세로토닌 수용체를 찾는 것이 목표”라며, “수용체를 찾는다면 다른 생물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고 모기의 세로토닌만 조절해 모기 개체 수를 ... ...
- [인터뷰] “냉소적인 세계관을 만들고 싶어 숫자를 활용했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주제 사라마구 작가님의 소설처럼 하나의 새로운 콘셉트나 관점을 제시해 이에 따른 상황들을 보여주면서 독자나 관객들에게 지금의 삶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을 만들고 싶어요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멈추기 전까진 앞면이 나올지 뒷면이 나올지 알 수 없죠. 말하자면 앞면이면서도 뒷면인 상황입니다. 양자도 마찬가지로 관측 이전에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상태를 동시에 띱니다. 그런데 관측을 하고 난 다음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동전 던지기를 해서 한번 동전의 앞면 또는 뒷면이 나오면 그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어렵습니다. 빨간 빛을 만들었는데 빨강과 함께 진한 빨강, 주황 등이 섞여서 나오는 상황이죠. 반면 퀀텀닷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 파장은 매우 좁습니다. 근처 파장 빛이 섞이지 않고 순수한 빨간 빛만 만들 수 있는 거죠. 이는 퀀텀닷을 구성하는 원자 수가 수십~수백 개로 매우 적어 서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