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불"(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그런 약속을 했을까. ISS에서 작은 손전등이라도 킨 것일까.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어떻게 불을 켰는지 e메일로 물었다. 그러자 “Ha! No!(아이구! 아니지!)”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ISS가 밤하늘에서 반짝거리기 때문에 아내와 주고받은 농담이었다고 말이다. 우주인 유머에 웃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 ...
- 강원도로 출동한 영웅들, 산불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찾아오는 이유Part 3. 산불 철저하고 확실하게 대응한다Part 4. 산불이 지나간 자리Part 5. 산불로 출동한 사람들 도움강원석(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복원연구과 연구원), 구남인(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복원연구과 연구원), 길승호(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생태조경디자인학과 교수), 윤석 ... ...
- 산불이 강원도를 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143동에 달한답니다. 4월 10일 산림청은 아리랑 3호가 보내온 영상을 분석해 이번 산불의 피해 면적은 고성-속초 700ha(1ha=1만㎡), 강릉-동해 714.8ha, 인제 342.2ha라고 발표했지요 ... ...
- 산불이 지나간 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어린 참나무들은 씨앗을 숲 여기저기에 숨겨 놓은 다람쥐나 어치의 소행이에요. 산불 이전엔 울창한 소나무에 가려져 어린 참나무가 보이지 않았지만 뜻하지 않게 생장할 기회를 얻은 거죠. 아마 6년 후엔 이곳의 토양과 기후에 잘 적응한 개체와 그렇지 못한 개체로 나뉠 거예요. 적응하지 못한 ...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아니라 냉점과 온점 등 뜨겁고 차가운 감각도 느끼지 못한다. 이 때문에 칼에 찔리거나 불에 데어도 자신이 다친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CIPA는 NTRK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발병한다. 이로 인해 신경성장인자가 생성되지 않고 두뇌로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세포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않는다. 이 ...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달간, 나는 더 많은 시간을 연구에 쏟았다. 학교 내신 공부에서 멀어진 내 모습이 때로는 불안했다. 노력이 물거품이 되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과 함께 외로움이 몰려올 때도 있었다. 그래도 멈춰지지가 않았다. 끝내 약 1000여 개의 성단 후보를 추렸고, 결국 664개의 성단을 찾았다. 그중 209개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별자리도 조금씩 변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는 투인원 프로젝터예요. 먼저, 반구 모양 프로젝터는 밤하늘을 그대로 담고 있어요. 불을 끄고 프로젝터를 켜면 프로젝터가 천천히 돌아가면서 실제 밤하늘에 뜬 별과 똑같은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이 프로젝터를 켜놓고 별자리를 찾는 연습을 할 수도 있지요.반대쪽 프로젝터에는 필름 ... ...
- [모기 박멸 카운트다운] 누가 모기 소리를 내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결국 불을 켰다. 두리번두리번, 그런데 모기가 보이지 않는다. 분명 '왜애애애앵' 소리가 났는데 말이다. 어딘가에 숨은 모기가 날 보고 비웃고 있는 건 아닐까. 분하다. 여름밤 단잠을 깨우기나 하는, 1도 도움 안되는 모기는 이 세상에 왜 존재하는 걸까. 아프리카에서는 모기 박멸 작전이 시작됐다고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알은 발생 초기에 죽어버린다. 이렇게 박테리아 감염으로 알이 죽는 경우를 ‘세포질 불합치’라고 하는데, 곤충학에서는 8대 발견 중 하나로 꼽는다. 다만 그 원리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볼바키아는 모기 개체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모기가 매개하는 뎅기열 바이러스, 지카 ... ...
- 아폴로 1호, 비운의 우주비행사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아폴로 1호에 탑승할 예정이었던 우주비행사 거스 그리섬, 에드워드 화이트, 로저 채피(노란 튜브 왼쪽부터). 1966년 6월 휴스턴 유인우주센터 근처 수영장에서 착 ... 타기 쉬운 나일론 소재의 우주복도 유리 섬유재로 바뀌었다. ▲1967년 1월 화재 사고로 불타버린 아폴로 1호 사령선(아래)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