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시
침
지침
시계바늘
잔뼈
주사바늘
주삿바늘
d라이브러리
"
바늘
"(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하나 방선균류에 속하는 배양균체에서 에탄올로 추출 분리시켜 얻었다무색의
바늘
모양 결정이며 분해점은 330℃, 250℃이다압력을 내리면 승화한다자외부 흡수가 극히 커서 266,285nm 진한 염산에 녹고, 냉수나 알칼리 등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다나이세리아과(科)의 진정 세균류 몸은 두 세포씩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기대를 모으고 있는 조셉슨 접합소자 등이다지구상의 임의의 지점에 나침반이나 자석의
바늘
을 놓으면 대략 남북을 가리킨다 이것은 지표면과 그 부근의 공간이 하나의 자기장을 이루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 이를 지구자장(磁場)이라 한다 지구자장이 존재하는 것은 지구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혈액을 뽑다가 개한테 사정없이 손을 물리고 말았다. 이 교수는 6
바늘
을 꿰매는 수술을 받아야 했다. 연구팀의 김민규 박사는 “연구원 가운데 개에 안 물린 사람이 없다”며 “연구팀에는 상처가 큰 사람이 대장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고 소개했다.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 ...
자석으로 신약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개발은 ‘짚더미에서
바늘
찾기’나 매한가지다. 자연계에 널린 수많은 물질 가운데 약품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한줌에 불과하고, 그 중에서도 실제로 약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극소수기 때문이다.KAIST 생명과학과 분자의약유전체학연구실은 신약 개발에서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 최근 김태국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는 일을 연구했다면 나노바이오측정제어기술은 세포가 살아 있는 상태에서 나노
바늘
을 꽂아 속을 들여다보기도 하고 세포의 성분을 조금 꺼내 분석하기도 하는 것이죠. 이 기술은 살아 있는 세포 안에서 어떤 성분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 더욱 쉽게 알 수 있게 해 준답니다.이런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옴진드기를 편광현미경 200배 배율로 찍은 작품이다. 옴에 걸린 부위는 심하게 가렵다.
바늘
과 옷핀 모양은 옴진드기 몸에 붙어있는 가시.06. 지구를 찾아온 외계인 ET박지영·서울 삼성제일병원 진단병리과26주 만에 죽은 태아의 콩팥 단면 육안 사진. 태아를 부검한 결과 콩팥에 혹이 생기면서 구멍이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 보통 구면계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세 개의
바늘
을 구면 위에 얹게 되어 있으나 아베의 구면계는 그 대신 고리 위에 구면을 얹도록 되어있다 이 구면계는 구면을 흠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아베가 제창한 정밀측정의 원리 물체의 길이를 기준척도와 비교해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말했다. HDD에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헤드’가 있다. 레코드판 위를 움직이는 전축
바늘
과 비슷하다. 손바닥만한 디스크 위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헤드가 작을수록 유리하다. 이 때문에 HDD는 1년에 2배씩 용량을 늘릴 수 있었다. 지금은 최대 400GB까지 등장했다.박 교수는 “최근 1인치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힘이 들어간다.순식간에 구름이 코앞에 와있다. 반사적으로 계기판 온도를 확인한다.
바늘
은 영하 1℃ 근처를 가리키고 있다. 영하 8~영상 6℃에서는 거의 착빙이 일어난다. 반디를 믿자. 구름을 타넘기로 했다. 그러려면 1500m까지 올라가야 한다.반디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갑자기 온 몸에 진동이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만들어 원자의 표면 위를 움직이게 하는 거예요. 그러면 원자들 사이의 힘에 의해서
바늘
이 움직이는 거리가 달라지는데 그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원자의 표면을 예측할 수 있게 된 거죠. 교수님이 개발한 현미경은 어둡던 나노의 바다를 환히 밝히는 등대가 되어 주었어요. 이런 교수님은 과연 어린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