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레
국민
종족
동족
국가
한겨레
친척
d라이브러리
"
민족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연구에 주로 이용됐다. 그러므로 몽골인과 한국인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분석하면 두
민족
간 차이와 기원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게 된다.이밖에 국립보건원 유전체연구소는 한국인에게 흔한 12개 질환별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인에게 특이하게 나타나는 유전형을 찾기 위한 지도 작성에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동물 복제 기술이 우리 소에 새로운 힘을 주기를 기대했다.“소는 5천년 동안 우리
민족
과 운명을 함께 한 동물입니다. 솔직히 우리 축산업은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세계에서 가장 원유값이 비싼 곳이 한국입니다. 그러나 생명과학을 이용하면 다양한 기능성 우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외국 우유 보다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유용하게 이용된다. 러시아 지방의 아무르 강, 우수리 강의 하류 유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
인 나나이족은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배를 타고 연어와 송어를 잘 잡는 것으로 유명하다.이런 기술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무대로 살아가는 여진족에게도 그대로 전수돼 우리 선조들이 골탕을 먹었다. ... ...
1. 한반도에 숨겨진 희귀약초 캐낸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고유 자생식물만도 4백여종이 된다.이처럼 풍부한 자생식물은 오랜 역사 동안 우리
민족
과 함께 하면서 다양한 혜택을 줬다. 가장 손쉽게 생각할 수 있는 혜택은 자생식물이 오래전부터 우리에게 영양을 제공하는 중요한 먹거리로 이용됐다는 점이다. 벼라는 작물이 대규모로 경작되면서 주식이 된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전세계 방방곡곡에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애국가 첫머리를 장식하듯 동해는 우리
민족
과 끊을 수 없는 관계다.그렇다면 우리는 동해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 것일까. 안타까운 일이지만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은 동해가 멀어야 울릉도, 독도를 포함한 남한에 연한 바다라고만 생각한다. 그러나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전국의 붉은 인파는 6월 4일 폴란드전 50만에서 22일 스페인전 5백만으로 급증했다.우리
민족
의 결집력을 전세계에 알린 길거리응원은 사람들을 거리로 내모는 나름대로 독특한 매력을 가진다. 거리에서 함께 응원하다 보면 가슴 속에서 꿈틀대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적으로는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과연 허준과 동의보감이 얼마만큼 역사적 가치가 있는가’라는 점이다. 한의사가
민족
의학의 대표저작으로 ‘동의보감’을 꼽고 있고, 수많은 의사가 허준을 모범으로 삼으며, 심지어 지하철 행상까지도 ‘동의보감’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 누구도 이 문제에 시원한 답을 내리지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부위가 알려져 있다고 해서 곧바로 친자감별에 쓰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반복 부위는
민족
에 따라 다른 분포를 갖는다. 고려대 의대 법의학교실의 황적준 교수는 “아무 반복 부위나 쓸 수 없고, 한국인에게 유의미한 곳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황교수는 지난 몇년 간 한국인의 DNA 통계분포를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있다.진달래와 벚나무도 꽃이 지면 무슨 나무인지 기억 하지 못하고, 우리
민족
이 가장 좋아한다는 소나무와 잣나무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보는 이들의 눈 높이에 맞춰 산에서 만나볼 수 있는 나무를 묶어 산나무 편을, 도시에서 볼 수 있는 나무를 묶어 도시나무 편을 만들었다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뜻으로
민족
의 고유명절이다. 이 명절은 추석과 함께 달과 연관된 대표적인 명절로 우리
민족
의 밝음 사상을 반영한다. 대보름 달빛은 어둠과 질병, 재액을 밀어내는 밝음의 상징이다. 보름에 뜨지 않는 보름달어렵지 않게 정월 대보름날 보름달이 뜰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26일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