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담당
책임
가중
부담
값
담당자
d라이브러리
"
맡은이
"(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한국의 미라는 ‘저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굴된 수백 년 전 미라를 조사한 결과 한국 미라는 거의 완전한 무균 상태에서 보관되며 해로운 세균도 없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투탄카멘 왕’ 미라의 저주가 사실은 미생물 감염이 원인이었다는 것과 비교 ... ...
바이오 광학을 빛으로 엮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광공학응용물리학제의 책임교수로 있는 노도영 교수(가운데)가 연구원들과 함께 실험실에서 한껏 포즈를 취했다. 노 교수는 “광공학응용물리학제의 목표는 광과학의 원천기술을개발하면서 이를 나노과학과 정보통신 같은 여러 기술에 응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우 ... ...
독 있는 타란툴라, 길이 4m 보아 뱀, 애완동물로 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1 징그러운 거미와 지네도 길들이면 ‘내 식구’오늘 사회를 맡은 강아지, 나비넥타이를 고쳐 매고 무대에 오른다.사회자 : 드디어 ‘이색 애완동물 선발대회’의 막이 올랐습니다. 이색 애완동물이라면 최근까지 야생에서 살았던 종임에도 불구하고 성질이 온순해서 사람 손에 길들이기가 쉽고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① 연구할 주제는 일상에서 찾는다. ② 읽는 사람이 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연구 방법을 상세히 적는다. ③ 연구 결과를 여러 가지 관점에서 분석해 다양한 결론을 유추해낸다. 사람들은 흔히 ‘연구 활동’이라고 하면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하루 종일 현미경을 들여다보거나 어려운 수학 문제를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제 3 화 임금님을 만나다“지오가 궁궐에 남기로 결심한 건 순전히 한 마디 말 때문이었다. “어쩌면 먼 과거의 세상을 보게 될 지도 모르지” 라고 하던 천복의 말이 지오의 마음을 잡은 것이다.‘연월기를 만들어서 2년 전으로 돌아가는 거야. 그때로 돌아간다면 누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을지도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큰그림 보러가기“게놈해독 장비가 발전하는 속도는 반도체 칩의 처리속도가 18개월 만에 두 배가 된다는 ‘무어의 법칙’보다 훨씬 가파릅니다. 최근 수년 동안은 해독 속도가 매년 10배씩 증가했으니까요.”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조지 처치 교수는 4월 27일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GET ... ...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유영제 교수의 저서 ‘이공계 연구실 이야기’를 보면 “연구는 피카소다”라는 말이 나온다. 피카소 그림에서 시대를 뛰어넘는 예술로 평가받는 요소들이 연구과정에서도 똑같이 요구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런 유 교수의 연구실을 둘러보니 두꺼운 책과 흰 가운 외에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4개국 6명 참가자 520일간 격리 생활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연합 소속 18개국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ESA는 2030년까지 화성에 유인탐사선을 보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마스500’ 프로젝트는 ESA가 추진 중인 2개 유인 우주개발 사업 가운데 하나다. 시모네타 디 피포 ESA 유인우주비행국장은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과학저널 ‘네이처’는 1971년 1월 22일자에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학원생인 마샤 맥클린톡이 단독 저자로 이름을 올린 2쪽짜리 논문을 실었다. 웬만한 과학자들은 평생 한 번 논문을 싣기도 어렵다는 저널에 불과 23살짜리 대학원생이 논문을 실었으니 도대체 어떤 내용이었을까.논문의 제목은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최근 어린이 5명 중 2명이 미래에 가수를 꿈꾼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어려운 공부를 벗어나 많은 사람의 관심과 인기를 누릴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가수로 성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노래, 댄스, 개인기 모두 중요하겠지만 수학 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