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engineer
앤지니어
기관수
기관사
d라이브러리
"
엔지니어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12
센서 등 일부 부품에서는 성능이 향상된 것을 쓰고 있다고 한다.전기 전자 기계분야의
엔지니어
20명이 동원된 HML-03제작에는 60억원 가까운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선로비용까지 합치면 2백억원). 이번 과정을 통해 개발팀이 노리는 목표는 무엇보다 각종 부품을 하나의 완성품으로 일구어내는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12
판정시비를 잠재워 줄 '코트의 해결사'가 등장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두
엔지니어
가 만든 이 라인센서(line sensor)에는 TEL(Tennis Electronic Lines)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레이저빔을 이용했던 기존의 라인센서와는 달리 TEL은 전자기에서 원리를 따온 시스템이다. 즉 테니스 공에 철분 5g을 집어넣은 뒤 이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11
컴퓨터공학 등에 여학생들의 지원이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공장에서는 여성
엔지니어
의 입사를 꺼리는 것 같아요. 여학생들은 훨씬 적극적인데 말입니다."서울대 공대의 유일한 여성교수이며 우리나라 여성공학박사 제1호인 박순자교수(59세, 무기재료공학과)의 말이다.농학 수산학분야도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11
그 구조가 결코 복잡하지 않은 건축물이라는 점을 상기하면서. 아마도 현대의
엔지니어
들은 1만년 이상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한 건축물을 충분히 세울 수 있을 것이다.또 이 미국판 스톤헨지는 맹목적인 파괴자들 뿐 아니라 소재재활용론자들의 표적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과거의 스톤헨지가 걸었던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09
충돌할 30분의 1이라는 확률은 의문의 여지가 없이 높아지고 있다. 존슨우주센터의 한
엔지니어
는 멤도는 파편들을 쓸어없앨 수 있는 우주빗자루 같은 것의 특허를 냈으며 이 청소가 조심스럽게 이루어져 유용한 것들을 궤도상에 남을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진행중이다.우리가 우리주변과 머리 위에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08
오는 8월13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이 발사되는 날이다. 「우리별1호」는 어떤 위성이며 어떤 과정을 거쳐 발사되는 것일까.오는 8월11일은 우 ... 합심해 2호의 국산화율을 높이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우리별2호의
엔지니어
링 모델은 대전 EXPO에 전시될 예정이다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07
놓여있는 조각들중에서 원래의 퍼즐 그림에 맞는 조각들만 골라내는 것이다. 화가와
엔지니어
그리고 많은 의사들까지도 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다. 그러나 기계들은 그렇지 못하다.멀지않아 로봇기계들은 전자식이 아닌 광학적 시각시스템을 갖추게 될것이다. 광학장치들은 실험물체나 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07
한창이다.수명이 14년이나 되는 E램프고주파 전파신호 이용해 빛을 낸다미국전력사(社)의
엔지니어
들은 최근 혁명적인 전구를 발명했다. 그 이름은 E램프(E는 electronic의 머리글자). 하루 4시간 사용시 수명이 14년이나 되는 것으로 알려진 E램프는 고주파전파신호로 필라멘트를 대체한 것. 스위치를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06
우세해졌다. 이 결과 등장한 것이 컴퓨터채점기.88년 3월 서울컵 복싱대회에서 소련
엔지니어
들이 선보인 이 시스템은 89년 국제아마권투연맹(AIBA)이 모든 국제대회에 이를 도입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이제는 보편화 됐다. 컴퓨터채점기의 원리는 간단하다.심판들이 펀치력과 정확도를 두루 보고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06
이 1981년에 처음 개발한 것인데 그 공로로 두사람은 전자현미경을 발명한(1932년) 독일의
엔지니어
인 E. 루스카(Ruska)와 함께 1986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원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아이글러와 슈바이처는 STM의 탐침(바늘, tip)을 원자의 표면에 최대한 가까이 접근시켰다. 이때 탐침과 표면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