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 돈의 비율
비율
정도
불손
d라이브러리
"
비례
"(으)로 총 1,04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09
더 빠르게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일반적인 원자를 사용한 매질에서는 빛의 세기에
비례
하는 진동수가 1GHz도 안 되지만 반도체 화합물에서는 그 진동수가 1THz(테라헤르츠, 1THz=1012Hz)까지 커진다. 즉 현재 전자에 기초한 디지털 정보처리 방식을 위상변화를 이용하는 광신호 방식으로 대체할 경우 CPU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09
비례
하기 때문이죠.이를 복숭아에 적용하면 복숭아의 부피는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
해요. 지름이 10cm인 복숭아 4개와 지름이 8cm인 복숭아 7개의 부피의 비는 5×5×5×4개 : 4×4×4×7개이므로 500 : 448이랍니다. 결국 작은 복숭아 7개보다 큰 복숭아 4개를 사는 것이 이익이군요. 정확하지 않은 눈을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09
휴대전화나 자동차를 시뮬레이션하는 것보다 간단해 보인다. 하지만 철은 가하는 힘에
비례
해서 변형되기 때문에 결과를 예측하기 쉬운 반면, 스티로폼은 그렇지 않다. 예를 들면 스티로폼은 처음 누를 땐 쉽게 변형되지만 갈수록 변형시키는 데 큰 힘이 필요하고 마지막엔 아무리 큰 힘을 가해도 더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08
가장 멀어진 각이 0.01″이므로 연주시차는 .01″이다. 별까지의 거리는 연주시차에 반
비례
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r(pc)= 1/p(″) 위의 식을 이용하면 별 A까지의 거리가 25pc임을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별 B까지의 거리가 100pc임을 알 수 있다. 3) 별 A는 10pc보다 ... ...
한 달에 한 번 마녀 되는 '두 얼굴'의 여친
과학동아
l
200908
첫날과 둘째 날에 최고조에 이른다. 물론 생리통의 정도도 프로스타글란딘의 농도에
비례
한다.생리통이 너무 심하다면 질환에서 비록된 2차성 생리통이 아닌지 의심할 필요가 있다. 질환은 생리주기가 맞지 않는 생리불순의 형태로 가장 먼저 나타난다.Q2. 우울해하거나 마구 짜증내는 이유는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l
200908
빛의 양은 지구에서 떨어진 거리의 제곱에 반
비례
하지만 별의 개수가 거리의 제곱에
비례
하므로 모든 공간에서 빈틈없이 별빛이 들어오기 때문이다.물론 현실에선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올버스의 패러독스’라고 부른다. 100여 년이 지난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은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08
한편 압력이 높을수록 기체는 더욱 많이 녹기 때문에 압력과 기체의 용해도의 관계는
비례
라고 표현한다.온도가 아주 낮고 움직임이 없는 상태는 이산화탄소가 잘 녹아있을 수 있는 조건이기 때문에 뚜껑을 따도 별로 튀지 않는다. 하지만 무더운 여름 날씨에 냉장고에서 탄산음료를 꺼내면 꺼낸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07
표면이 곡면이다. 막에서 방울 내부로 향하는 압력(모세관압)은 표면의 곡률반지름에 반
비례
한다. 반면 방울 안 기체의 압력은 일정하다. 따라서 표면이 평평한 막은 양쪽에서 눌려 액체가 주변으로 빠져나가면서 얇아지는 것.김 교수는 “물뿐 아니라 알코올이나 휘발유처럼 순수하거나 구조가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07
살았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인류의 지적 능력이 뇌의 크기와 꼭
비례
하는 건 아니란 의미일까.실제로 리앙 부아 동굴에서 함께 출토된 피그미 코끼리 정도의 포유류를 사냥하려면 호빗이 여럿 협동해야 하기 때문에 정교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또 이들은 불을 사용한 흔적이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06
밖으로 튕겨져 나갈 수 있다는 말이다. 원심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
하고 반지름에 반
비례
한다. 따라서 속도가 빠른 열차의 선로는 가능한 한 곡선구간을 만들지 않고 직선 형태로 건설하는 편이다. 산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고속철 운행구간에 터널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열차가 탈선 없이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