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뉴스
"
적은
"(으)로 총 3,56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제타, 우주항해 10년만에 ‘67P 혜성’ 궤도 진입
동아일보
l
2014.08.07
‘파일리’를 착륙시킬 예정이다. 2004년 미국 탐사선이 혜성 꼬리에서 먼지를 채취한
적은
있지만 혜성 표면 착륙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착륙에 성공한다면 로제타는 우주탐사 역사상 혜성에 올라타고 내려앉는 첫 탐사선이 된다. ‘추리’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67P 혜성은 45억 년 전 태양계에서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두 시간 넘게 두들겨 부쉈다, 왜?
과학동아
l
2014.08.03
영화 ‘트랜스포머4 사라진시대’ 공식포스터 - CJ E&M 제공 “도대체 이 장면에서 왜 싸우는 걸까?” 영화를 보는 내내 이 의문을 깨기 어려웠다. 악당들은 당장 필요하지 않은 폭탄 하나 얻어내기 위해 수백 대의 로봇 군단을 시내 한 복판으로 풀어 넣었다. 자기 딸을 지키겠다는 일념에 불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이 글에는 영화 ‘더 시그널’에 관한 스포일러(핵심적 내용을 미리 밝히는 것)가 다수 포함돼 있습니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의문의 신호에 응답하는 순간 우리가 알던 모든 세계가 무너진다.’ 이달 초 개봉한 SF 영화 ‘더 시그널’의 캐치프레이즈다. 작정한 신비주의 마케팅 ... ...
당신이 모르는 에센스 방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7.22
물방울과 만나는 표면이 젖음주름 현상에 의해 융기한다. 현미경 사진을 확대하면(오른쪽) 비대칭 삼각형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제공 손 등에 에센스를 떨어뜨렸을 때 생기는 비밀 하나. 에센스 방울의 표면장력 때문에 손등 피부가 방울 표면을 따라 미세하게 당겨져 ... ...
탈북 과학기술인 “북한선 중산층 이상으로 살았는데…”
과학동아
l
2014.07.22
탈북자 의사의 고뇌를 그린 드라마 ‘닥터 이방인’. 현실의 탈북 과학기술인은 드라마와 달리 북에서 배운 전문지식을 거의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아우라미디어 제공 정부가 통일에 적극 대비하겠다고 나서고 있지만 막상 탈북 과학기술인들의 지식과 경험은 제대로 살리지 ... ...
[채널A] ‘가시 공격’ 내향성 발톱 급증…예방법은?
채널A
l
2014.07.22
(남) 발톱이 가시처럼 살 속을 파고드는 아픔을 겪은 적 있습니까? (여) 이른 바 내향형 발톱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남) 방치하면 걷기조차 힘들다고 하는데, 특히 덥고 습한 여름철을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여) 이영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한 달 간 발톱에 생긴 염증으로 ... ...
수영장에서 ‘쉬~’ 하지 마세요
2014.07.21
동아일보DB 제공 ‘병만족’으로 유명한, 연예인들의 오지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2~3년 전 이벤트성으로 여성 연예인들이 오지 체험을 한 프로그램이 방영된 적이 있다. 아무래도 여성들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화장실이 큰 문제여서 한참 자리를 물색한 끝에 구석진 자리에 변소를 만 ... ...
“과학적 합리성 확산돼야 사회 통합 가능”
과학동아
l
2014.07.20
김시중 과학기술포럼 이시장 - 이재웅 동아사이언스 기자 ilju2@donga.com “우리 사회는 과거의 비정상적 관행에 발목이 잡혀 있습니다. 사회 통합과 국민의 행복을 위해서는 과학적 합리성이 필요합니다.” 18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만난 김시중 과학기술포럼 ... ...
[표지로 읽는 과학] 벼 해독 10년 만에 ‘진짜’ 밀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14.07.20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밀이 장식했다. 국제밀게놈시퀀싱컨소시움(IWGSC)을 이끄는 클라우스 마이어 박사는 “밀의 게놈지도가 거의 완성됐다”며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밀 게놈지도의 초안을 공개했다. 지난 2013년 밀의 게놈은 이미 ‘네이처’에 발표된 적이 있다. 이때 ... ...
이대 박석순 교수 “큰빗이끼벌레 유해? 수질정화 기능”
동아일보
l
2014.07.14
[동아일보] 큰빗이끼벌레가 최근 4대강 등에서 잇달아 발견돼 유해성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박석순 교수는 "미국에서는 하나의 수질 정화 기능이 있다는 것으로 이야기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11일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 인터뷰에서 "이게 원산지가 미국이다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