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비교
뉴스
"
비교분석
"(으)로 총 3,4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앵무새 뇌에는 노래 유전자가 3개
2014.12.14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사진)는 ‘새대가리’다. 마치 닭볏처럼 머리에 난 뾰족한 깃털이 인상적인 이 새는 아마존강에 사는 호아친이라는 종이다. ‘사이언스’ 가 생태 화보집처럼 새 사진을 표지에 내세운 이유는 48종에 달하는 조류(鳥類)의 유전체 분석이 완료됐기 때문 ... ...
북한은 정말 2010년에 핵실험을 했을까
2014.12.04
중국과학기술대가 발표한 북한 핵실험 추정 논문 -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제공 북한이 지금까지 공개된 세 차례의 핵실험 이외에 지난 2010년에 소규모의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다는 주장이 중국 과학계에서 제기됐다. 이 주장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은 “근거가 부족하다”며 일축하고 있다. ... ...
렌즈 하나로 3D 찍는 카메라 기술 60억 원 유치
2014.12.02
적외선으로 촬영한 선명한 사진과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부분부분 흐릿한 사진을
비교분석
해 대상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3차원 정보를 얻어낸다. 경종민 스마트IT융합시스템연구단 단장(KAIST 교수)은 “DA 카메라는 가장 싸고 작은 크기로 입체영상정보를 받을 수 있는 카메라”라며 “현재 DA ... ...
한국 科技혁신역량 세계 7위
2014.12.02
istockphoto 제공 한국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가운데 7위에 올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실시한 ‘2014년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결과 지난해보다 1단계 상승한 7위를 차지했다고 2일 발표했다. 1위인 미국과 비교해서는 62% ... ...
사람은 언제부터 술을 잘 마셨을까?
2014.12.02
iStockphoto 제공 한해를 정리하는 12월. 1년을 꼬박 동고동락한 동료끼리나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의 대화를 무르익게 만드는 것은 바로 술이다. 사람이 이렇게 술을 마실 수 있게 된 것은 약 1000만 년 전 부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인디애나주립대와 산타페칼리지 공동연구팀은 사람과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물리학이나 화학의 최신 연구결과들이 대중의 관심을 끄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렵기도 하지만 그 결과가 일상생활과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들만의 리그’인 셈이다. 반면 생명과학 분야는 좀 다른데 우리자신이 생물인데다 연구의 상당부분이 의학, 즉 건 ... ...
대박 난 FA 야구선수들, 과연 내년에 활약할까?
2014.11.30
올해 1400억 원을 받고 텍사스 레인저스로 이적한 뒤 부진에 빠졌던 추신수 선수. - Keith Allison 제공 프로야구가 스토브리그에 돌입한 가운데 자유계약(FA) 시장에서 연일 ‘억 소리 나는’ 재계약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 삼성의 우승을 이끈 투수 윤성환과 안지만은 각각 4년간 80억 원과 65 ... ...
매일 요거트 28g 먹으면 당뇨 위험 18% 감소
2014.11.25
위키미디어 제공 매일 요거트를 먹으면 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보건대 연구진은 의료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장기간 조사한 결과 요거트가 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24일 밝혔다. 2형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3억6600만 명이 앓고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네이처 제공 학창시절 수학교과서 속 집합 단원에서 볼 수 있는 벤다이어그램. 이 벤다이어그램이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표지 속 벤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은 사람의 머리를 형상화했다. 또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인 교집합은 쥐로 나타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집합은 쥐라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1.21
“인간이 지금과 비슷한 골격을 갖게 된 건 약 20만 년 전입니다. 하지만 현재 인류처럼 높은 지능을 갖게 된 건 언제인지 모릅니다. 이 조그마한 석영 입자에 그 답이 있습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 센터. 최정헌 환경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이 컴컴한 분석실에 놓인 장비를 점검하며 이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