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를 잡아먹은 비단뱀
팝뉴스
l
2019.01.16
반려묘를 잃은 사람은 마음이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사진 공개자는 고양이 등 반려
동물
을 기르는 사람에게 조심하라고 당부하기 위해 사진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경우도 15%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반려견이 주는 정서적인 효과(둘 다 사회적
동물
이다)와 함께 개를 산책시키며 사람도 운동을 더 하기 때문 아닐까. 이래서 사람과 개는 ‘환상의 커플’인가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올해 과학연구 기대하세요" 2019년 주목할 출연연 연구들
2019.01.14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을 본격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최근 생명연 노화제어전문연구단은
동물
실험을 통해 혈액 내에서 노화를 막는 기능을 하는 단백질 후보 10여 종을 발굴했다. 올해는 각 후보 단백질이 실제로 체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밝힐 예정이다. 최근 출연연은 생활·사회 문제 ... ...
예쁘게 꾸민 돼지,
동물
학대?
팝뉴스
l
2019.01.13
추정된다. ‘돼지를 예쁘게 꾸몄다’면서 돼지 주인의 솜씨를 칭찬하는 댓글도 있지만
동물
학대의 혐의도 있다고 주장하는 네티즌들도 소수 보인다. 돼지털을 저렇게 묶으면 사람 눈에는 신기하고 재미있겠지만 돼지 입장에서는 괴로울 것 같다는 지적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실전, 반려
동물
]이구아나가 잘 먹지 않아요
2019.01.12
이구아나는 예민한
동물
이기 때문에 결코 입양을 쉽게 생각해선 안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얼마 전 한 보호자가 자신의 반려
동물
인 이구아나 한 마리와 함께
동물
병 ... 자문을 맡고 있다. 관련기사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월호(2019. 1.1 발행) [실전! 반려
동물
] 이구아나야, 왜 줘도 먹지를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설표범은 산소가 적은 고산지대에 완벽히 적응한 개체다. 따라서 다른 고양잇과
동물
과는 달리 설표범만이 지닌 유전자가 무엇인지 밝히면 저산소증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조 소장은 “해독된 게놈 지도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면 이미 멸종된 종을 살릴 수도 있다”며 ... ...
물범 콧구멍에 장어가 대롱대롱
팝뉴스
l
2019.01.09
제공 미국의 해양
동물
연구 단체가 페이스북에 공개해 큰 화제를 낳은 사진이다. 어린 물범의 코에 장어가 끼어 있다. 흔치 않지만 이런 사례가 극히 드물지도 않다는 설명이다. 물범은 바다 바닥을 입으로 훑으면서 먹을 것을 잡는다. 그때 장어도 입에 들어올 수 있다. 어떤 장어는 필사의 탈출을 ... ...
"쥐는 무슨 얘기 하나" 세계 최초 쥐 언어 분석AI ‘딥찍찍’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20가지의 초음파 발성 레파토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물
이 내는 소리를 분석하면
동물
의 감정 상태나 신체 기능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초음파를 탐지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미 나와있지만 오류가 여전히 많다. 설치류가 내는 초음파가 아닌 다른 소음을 ... ...
숲이 속삭이는 소리 듣고 생물다양성 평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전기를 얻는 녹음장치를 설치해 반경 수백 m의
동물
소리를 녹음한 뒤 분석을 통해
동물
의 종류와 개체수, 공생하는 나무 등 식물의 다양성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이 녹음 장치는 특정 시간대별로 주변의 소리를 연속적으로 녹음한다. 녹음된 숲의 소리를 주파수별로 분석하면 새와 포유류, 곤충, ... ...
지질학적으로 지금은 ‘닭의 시대’
과학동아
l
2019.01.07
70년간 압축적으로 일어났다고 밝혔다. 베넷 연구원은 “지구상에 가장 수가 많은 척추
동물
이자 동시에 인간에 의해 가장 많은 변화를 겪었다는 점에서 현대의 닭이 인류세의 상징이 될 만하다”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 오픈 사이언스’ 2018년 12월 12일자에 실렸다.doi:10.1098/rsos.1803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