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관측 자료는 향후 우주비행체의 부품 및 재료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최근 활발해진 태양
활동
을 관측해 우주환경 모델도 만든다.검증위성의 임무는 1, 2차 나로호에 실린 과학기술위성 2호보다 적다. 심은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응용미래기술센터장은 “과학기술위성 2호를 다시 만드는 데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왜 그럴까? 이건 단체가 23번 수상했기 때문이다. 평화상은 종종 국제 평화를 위해
활동
한 단체에 수여된다.그런데 수상자 수가 달라지는 정도로 학문의 경향도 가늠할 수 있다. 공동 수상은 어떤 현상을 우연히 같이 발견한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혼자서 연구하기가 쉽지 않아 함께 연구했거나 같은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캐나다 학교에서의 첫날, 최근 수년 동안 이날만큼 긴장되고 설레던 적이 없었다. 과연 내가 캐나다에서 학생을 잘 가르칠 수 있을까? 학생들이 내 말 ... 보이지 않는다. 학생은 오후 2시 30분에 학교 수업을 마치면 댄스와 배구, 환경보호
활동
등 클럽
활동
을 한 시간 정도 더 한 뒤 집에 간다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학술지에 12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했다. 김경웅 교수는 6개 국제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김 교수는 자신의 연구가 “사람들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면 좋겠다”며 “비소 연구를 시작한 것도 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을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사례 1 의대에 가고 싶지만 현실은… S시 W중 3학년 S학생 “의사가 돼서 아픈 사람들을 돕고 싶어요.”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지? 계기가 ... 외국어영역은 하루에 1시간 정도 공부해서 감각을 잃지 않게 유지한다. 3. 그동안 다양하게
활동
해온 내용을 잘 녹여낸 자기소개서를 작성한다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문을 연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박완수 소장은 취임 당시 “어떤 유산균이
활동
하느냐에 따라 김치의 맛과 풍미가 달라진다”며 “이런 김치맛을 조절하려면 유산균의 생태계부터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치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백여 종 유산균의 상관관계를 밝혀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무선 송수신기가 부착된 재킷을 입고 훈련하는 동안 선수들의 움직임과 심박동,
활동
시간, 속도 등의 자료를 실시간으로 코칭 스태프에 전한다.한편 남아공 경기장은 해발고도 1000m를 오가는 높은 지대에 있어 공기가 희박하다. 또 저항이 작아 공의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선수들이 쉽게 지칠 수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용어를 사용해 더 확장된 개념을 공부합니다.특히 이 단원에서는 참값의 범위를 구하는
활동
으로 부등식을 만날 수 있습니다. 참값의 범위를 구하는 문제를 생각하면 복잡하고 헷갈리는 여러 개의 공식이 먼저 떠오르나요? 공식이 잘 떠오르지 않는 친구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차근차근 생각해 ... ...
고교생 고민 솔직하게 나눠요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고민을 들어주는 ‘다나와’와 성격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나와’
활동
을 통해 청소년들이 서로 고민을 해소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어떻게 하면 ‘다나와’에 선정될 수 있을까. 진다클린겔 홈페이지(www.zindaclin.co.kr)에 들어가서 직접 동아리를 소개하고 ‘다나와’를 ...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유는 이 책의 저자가 한 사람이 아니라 건축가나 건축과 교수, 건축이론가 같이 현재
활동
하고 있는 전문가 13인이기 때문이다. 저자들이 들려주는 건축 이야기를 하나씩 읽다보면 마치 ‘건축 콘서트’에 참석한 것 같이 특별하고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듣는 상쾌한 기분이 들 것이다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