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제기는 오해로 밝혀졌다. 환경부는 “한강 밤섬의 람사르 습지 등록은 지난 2010년 7월
서울
시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현재 밤섬에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매와 2급인 큰기러기를 비롯해 582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지난해 지정된 제주도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핵종(우라늄보다 원자번호가 높은 핵종)을 일부 섞어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황일순
서울
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연료에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20% 섞어주면 임계상태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원전 아닌 ‘에너지 증폭기’하지만 이 방식은 온전한 의미의 토륨 원전이라고 부르기 어렵다.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변화 추세와
서울
지역 평균 기온 변화 움직임이 다르다. 해마다 들쭉날쭉하기는 했지만
서울
지역 평균 기온의 기울기, 즉 변화 폭이 더 크다. 그림과 표의 기울기를 보면 차이를 느낄 수 있다.지난해 6월 대한지리학회지에는 이와 관련된 논문이 하나 실렸다. 이승호 건국대 교수와 허인혜 교수는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할 수 있을 만큼 전통적인 학문 분야다. 시대적 요구에 따라 학과 이름도 종종 바뀌었다.
서울
대는 토목공학과로 출발했다가 건설환경공학도시가 발달하면서 도시공학부로 분리됐다. 지구환경이 중요해지면서 환경이라는 이름이 추가됐다. 그 후 종합적인 교육을 위해 건설환경공학부,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경험과 활동이 중요하다.
서울
대는 과학 분야 80명, 연세대는 수학·과학 분야 80명,
서울
교대는 수학·과학·정보 분야 120명을 선발해 가르친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영재교육은 영재학교나 과학고가 맡고 있다. 여기에 들어가지 못한 학생은 과학중점학교로 가도록 유도하고 있다. 일반고 1~2학년을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따라 등장하는 새로운 소통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인터랙티브 아트 작가로
서울
과 뉴욕 등지에서 ‘미디어 공간 유영’이라는 전시회를 연 강은수 미국 아크론대 교수는 “키넥트의 등장이 작가와 참여자 모두의 입장에서 인터랙티브 아트의 대중화에 기여했다”고 말했다.강 교수는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승인을 받았다. 2013년 치료백신으로는 처음으로 유럽에 시판될 것으로 알려졌다. 강창율
서울
대 약학대학 교수는 “임상 중인 유방암치료백신들이 안전성과 효과 면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강 교수가 HER2/neu 단백질을 이용해 만든 유방암치료 DNA백신도 현재 임상 1단계에 있다. 강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하지만 이런 이유 말고도 농촌에서 물 자체가 귀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도원
서울
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저서 ‘흐르는 강물따라’에서 “땅속으로 스며드는 물이 아까워 시골 도랑에는 차츰 콘크리트가 놓이고 있다”며 “이런 변화는 여름에 더 많은 물을 논에 공급할지 몰라도 지하로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잔류염소 4.0mg/L, 총트리할로메탄 0.1mg/L, 클로로포름 0.08mg/L처럼 수질기준을 정해놓았다.
서울
시는 “이 기준을 넘지 않는 물은 하루에 2L씩 70년간 마셔도 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스위스는 가정집마다 하수 처리 시스템을 도입해 ‘버리는 물’마저 비교적 깨끗한 상태로 하수구에 흘러가도록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검색엔진을 만들어 야후를 제쳤다.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작년 10월 26일 치러진
서울
시장 보궐선거 전날, 구글의 검색 원리를 이용해 선거 결과를 예측했다.박원순 후보와 나경원 후보를 구글에서 검색해 각각의 웹페이지 수를 뽑은 결과가 실제 득표율과 비슷했던 것이다. 사람들의 관심과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