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대 소식] 지금은 천체물리학 전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에도 풍성한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답니다!일정 : 12월 21일대상 : 초등학생 및 가족장소 : 과학동아천문대신청접수 :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 예약프로그램 문의 : 02-3148-0722(평일 오전 10시~오후 5시)※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star.dongascience.com)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만드는 창작의 활동은 매우 고통이 커요. 이봄은 내가 흥얼거리는 음, 지정한 계이름 등을 입력하면 다양한 멜로디를 뚝딱 만들어줘요. 그럼 그중에서 내가 원하는 곡을 선택하고 발전시켜나가면 완성도가 높아지겠죠?곧 인공지능이 생활 곳곳에 스며들 거예요. 저는 여러분이 인공지능과 현명하게 ... ...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빨아들이는 게 아니라 선풍기를 이용해서 배설물을 모으는 혁신을 이뤄냈습니다!” ●2등“쓸 때만 부풀려요! 접는 화장실”-수상자 : 대처 카든의 팀, 미국-설명 : ‘접을 수 있는 개인 우주 비행사용 화장실’은 접은 상태로 보관하다 사용할 때가 되면 투명한 받침대에 끼운 후 공기를 넣어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싫어하는 소수성이면 딱딱 끊어지게 표현했지요. 박자는 우리 몸에서 호르몬이나 항체 등으로 작용하는 ‘펩타이드’로 정했어요. 펩타이드를 이루는 아미노산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면 ‘쿵’, 중간이면 ‘타’, 적으면 ‘치’로 표현했지요.이다영 작가는 “현재 DMZ의 생태계를 소리로 바꿔 ... ...
- [과학뉴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있는 거예요.연구를 이끈 하이네 교수는 “앞으로 달 탐사 때 필요한 식수나 로켓 연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성층권 : 지구 대기권의 한 영역. 고도는 대략 10km에서 50km 사이이며 이 안에 오존층이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추정하고 스스로 학습했어요. 연구팀은 로봇이 다니기 힘든 눈밭이나 개울, 진흙탕 등에서 1년 가까이 애니말을 시험했는데, 이 기간 동안 애니말은 카메라 없이 오로지 발에 있는 센서와 AI만으로 넘어지지 않고 어떤 길이든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었지요.애니말과 같은 로봇개는 위험한 산업 ... ...
- 독감 백신 주사, 맞아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교수는 “현재 20~30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와 달리, 독감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먼저 걸린 이후 가족을 통해 전파되는 유형이 나타났다”면서 “백신 접종을 통해 어린이 독감을 예방한다면, 가족은 물론 사회 전체의 독감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빛 반사율이 약 80~90%인 것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지요. 연구팀은 암석이나 조개껍데기 등에서 추출하는 탄산칼슘 충전제에 주목했어요. 탄산칼슘은 페인트로 들어오는 태양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거든요. 연구팀은 페인트에 탄산칼슘 충전제를 넣은 뒤 타일에 칠해 실험해본 결과 초백색 페인트를 ... ...
- [우주화장실] 똥? 버리든가 먹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분을 가득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떠올리고는 일본 된장, 땅콩 기름, 소금, 물, 효모 등을 섞은 가짜 똥을 만들어서 방사선의 투과율을 측정했어요. 그 결과, 똥 보호막의 두께가 20~28cm가 되면 방사선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요. 물론 배설물 속의 미생물이 활동하며 기체를 만들면 ... ...
- [만화뉴스] 빛 입자가 수소의 전자를 스치는 순간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때 만들어지는 무늬인 간섭 패턴을 관찰했지요. 연구팀은 간섭 패턴과 수소 분자의 위치 등 콜트림스 현미경의 데이터를 활용해 광자가 수소의 전자를 차례로 튕겨내는 데 걸리는 시간을 247젭토초 수준에서 측정했어요. 젭토초는 10의 21제곱분의 1초로, 눈을 한 번 깜빡이는 0.3초 동안 247젭토초가 약 ... ...
이전3253263273283293303313323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