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광학을 연구하던 아일랜드 과학자 ‘윌리엄 몰리뉴’는 1688년 7월 7일, 철학자 존 로크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냈어요. 그 속엔 재미있는 질문이 있었지요.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한 사람이 있었어. 그는 정육면체와 구를 만져서 구별할 수 있었지. 정육면체는 8개의 뾰족한 꼭짓점이 있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걸까? 내가 만든 이산화탄소가 난민을 만든다?2017년 12월, 미국 경제학자 울프람 슐렝커 교수는 지구온난화가 난민 발생에 기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유럽연합에 난민 지위를 신청한 사람 수와 출신국 103개국 날씨와의 관계를 알아봤지요.그 결과, 출신국의 연평균 ... ...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하루빨리 소년들을 동굴에서 탈출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들이 활용됐어요. 전세계의 수많은 인력과 기술이 총동원된 덕분에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었던 구조 작전이 고립 후 17일 만에 끝났지요. 과연 어떤 작전이 펼쳐졌을까요? 흙탕물에서 잠수를 하는 건 매우 위험한 일이에요. 따라서 동굴 ... ...
- 사건발생! 소년들은 왜 동굴에 고립되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동굴에 고립되었던 건 독자 친구들과 비슷한 나이인 11~17살의 소년들이었어요. 사람들은 어린 소년들이 고립되었단 사실에 더욱 마음을 졸였지요. 소년들은 어떻게 동굴에 갇힌 걸까요? 고립 사건이 발생한 장소와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지난 6월 23일, 태국의 유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커서 식물의 신비를 풀고 싶다”고 말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인 장이권 교수는 “시드볼트와 같은 국가중요시설이 있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자연을 충분히 탐사할 수 있어 정말 좋았다”며, “캠프에 참가한 부모와 어린이들이 생명 보존의 가치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인식을 ... ...
- [과학뉴스] 몸으로 드론을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익숙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실베스트로 미세라 교수팀은 몸의 움직임으로 드론을 조종하는 기술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조이스틱보다 좀 더 간단하고 배우기 쉬운 조종수단을 만들기 위해 17명의 실험 지원자를 뽑았어요. 그리고 실험자들의 몸에 움직임을 ... ...
- Intro. 극한 직업! 폭풍 사냥꾼이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으아악! 도로시 살려~! 여긴 지금 폭풍이 불어와 모든 게 엉망진창이야. 바람이 얼마나 센지, 우리 집까지 날아가고 있다구~! 헉! 그런데 저게 뭐야? 설마 지금 이 폭풍을 향해 다가오고 있는 건가? 도대체 뭐 하는 거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극한 직업! 폭풍 사냥꾼이 간다!Part 1. ... ...
- 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흐린 날만 비행하는 사람들“오늘 아침, 허리케인 헌터들이 열대성 폭풍 ‘크리스’ 속으로 날아갔어요.”지난 7월 8일, 미국 해양대기청 소셜 미디어에 허리케인 헌터들의 소식이 들려왔어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근처에서 열대성 폭풍이 만들어졌다는 소식을 들은 허리케인 헌터들이 항공기 ... ...
- Part 3. 구름 위의 폭풍을 쫓는다! 스톰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않았지요.스페이스 스톰 헌터 연구를 맡은 덴마크기술대학교 토르스텐 뉴베르트 교수는 “앞으로 촬영한 사진과 X선, 감마선 측정 자료를 함께 분석할 예정”이라며 “가장 재미있는 연구가 남아있는 셈”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극한 직업! 폭풍 사냥꾼이 간다 ... ...
- [가상인터뷰] 거미가 하늘을 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그럼 비행의 또 다른 비밀이 있어?지난 7월에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의 에리카 몰리교수팀이 거미가 지구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비행에 사용한다는 연구를 발표했어. 지구의 대기는 양전하를, 땅은 음전하를 가지고 있지. 연구자들은 우리가 뿜어낸 거미줄이 정전기 때문에 하늘로 날아간다고 ... ...
이전3253263273283293303313323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