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36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과학콘서트] 고려대 찾은 세계의 석학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기회가 이런 부작용을 극복하는 데 있음을 암시했다. “RNA 간섭현상으로 특정 RNA
분자
가 어떤 표적을 찾아서 파괴할 수 있습니다. 유전공학기술의 발달로 이 방법이 안전하다고 알려졌습니다. 현재는 표적 화합물을 만드는 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지만 앞으로는 좀 더 저렴한 가격에 만들 수 ... ...
[정영훈의 미수다] 신재생에너지, 준비하는 만큼 돈 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0.23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전기까지 생산할 수 있는 투명 태양전지로서 빛에 반응하는 염료
분자
와 티타늄 산화물을 이용해 만드는 것으로, 입사각이나 온도가 변화해도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훨씬 덜 민감하여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SDI와 KAIST가 공동으로 건물 ... ...
와르셸 “노벨상 발표후 한국서 첫 대중강연… 더 떨려”
과학동아
l
2013.10.21
연구하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특히 와르셸 교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
분자
의 움직임을 한 번에 계산하기 위해 양자역학과 뉴턴 역학을 조합하는 독특한 발상을 처음 제기한 과학자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그는 “당시 효소를 연구하고 있었는데 기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는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노벨상 수상 연사 4人
동아일보
l
2013.10.21
일어난다. 따라서 그 과정은 훨씬 복잡할 수밖에 없다. 이 전사와 번역 메커니즘은
분자
생물학의 주된 연구 대상 중 하나다. 로버츠 박사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연구도 이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진핵생물에서 전사와 번역이 일어나려면 우선 핵에서 만들어진 mRNA가 세포질로 이동해야 한다.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동아일보
l
2013.10.21
성과를 내고 있다. 그는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단위의 초고속 레이저를 이용해 생체
분자
의 3차원 입체 구조와 변화를 분석, 관찰하는 데 유용한 계산법을 연구개발했다. 또 그는 광합성 단백질에서의 에너지 전달 현상과 광학 이성질체(異性質體·같은 원소와 같은 수의 원자로 이뤄졌지만 연결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세포 사멸 연구분야 세계적 권위자
동아일보
l
2013.10.21
유발 유전자인 ‘SOD1’의 변이가 어떻게 운동성 신경세포를 사멸시키는지에 대한
분자
적 수준의 기전을 규명하는 것이 질병 이해의 핵심이었다. 쥐를 통한 실험 결과 최 교수 연구팀은 루게릭병 환자의 척수 조직에서 세포사멸 촉진 단백질로 알려진 MST1이 활성화 된 것을 관찰했다. 또 이 현상은 SOD1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베르틸 안데르손 싱가포르 난양공대 총장 “상에 연연 말고 독창적 연구 해야… ”
동아일보
l
2013.10.21
설이 세계 과학계를 지배할 때 ‘버키 볼(bucky ball)’이라는 축구공 모양의 탄소
분자
, 즉 풀러렌의 존재를 주장했고 결국 이를 입증했다. 안데르손 총장은 “크로토 교수를 ‘미치광이 해리(crazy Harry)’라며 폄훼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결국 그가 옳았다”며 “크로토 교수처럼 대부분의 노벨상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꿈’을 만난 과학영재들 “세상 바꾸는 과학자 될래요”
동아일보
l
2013.10.21
소영 양은 과학을 세상에 빗댔다. 그는 “
분자
에 열을 가하면 ‘열분해’가 일어나
분자
의 본래 성질을 잃어버린다”며 “사람도 지나친 관심을 한 몸에 받으면 ‘사람이 변한다’고 하지 않느냐. 과학에는 이런 소소한 재미들이 곳곳에 숨어 있다”고 말했다. 어렸을 때 국제변호사를 꿈꾸던 소영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주요 참석 연사 6人
동아일보
l
2013.10.21
약물전달시스템·조직공학 선구자 로버트 랭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고
분자
소재를 활용한 약물전달시스템과 조직공학 분야의 선구자다. 2013년 볼프 화학상을 수상하고 2011년 미국 기술혁신 훈장, 2008년 밀레니엄 테크놀로지상을 받았다. 그는 암조직과 같은 인체의 특정한 부위에 정확히 ... ...
이공계의 MBA, PSM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8
‘의생명과학 PSM(Professional Science Master)’ 과정. 그는 “경영학뿐만 아니라 약리학,
분자
생명공학에 실험실습까지 포함돼 정책 분석과 R&D 비전 수립에 필요한 연구자들과의 소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장 연구자들은 연구 현장이나 미래 비전에 대한 고민 없이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