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22건 검색되었습니다.
‘궁극의 원전’ 찾아 4세대로 눈 돌린다…韓 100MW ‘살루스’ 연구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선박 전원을 MSR로 공급하기 위한 연구를 막 시작했다. 김성중 한양대 원자력
공학
과 교수도 자율운전형 MSR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 중이다. 임채영 원자력연 혁신원자력시스템연구소장은 “테라파워를 시작으로 2030년대 중반에는 4세대 원자로를 300MW 이하 소형모듈원자로(SMR)로 짓는 차세대 원전 ... ...
탄소나노튜브를 갈아서 유기용매에 넣으면 일어나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식물의 호흡과 광합성 과정에 접목해 각종 환경 센서로 사용하며 ‘식물 나노생체
공학
’ 분야를 개척한 전문가로 유명하다. 2016년에는 바이오센서 역할을 할 나노입자를 시금치 잎 뒷면에 주입해 지뢰나 탄약 같은 폭발물에 포함된 질화방향족 기체가 감지되면 잎이 형광색으로 바뀌는 기술도 ... ...
[과기원은 지금] 최민기 KAIST 교수팀, 효소 닮은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앙게반테 케미’에 지난달 17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포스텍은 9일 차형준 화학
공학
과 교수와 박우찬 동아대병원 안과 교수팀이 상처난 눈을 홍합과 양막으로 재생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양막은 태반 안쪽의 배아를 덮고 있는 막이다. 상피 재생을 촉진하는 인자가 많이 들어있다. ... ...
[랩큐멘터리] 원자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것이다. 양유정 포스텍 신소재
공학
과 박사과정생. 최시영 포스텍 신소재
공학
과 교수가 이끄는 ‘전자∙원자구조 이미징 해석 연구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와 전자 연구를 통해 유용한 미래소재를 개발하는 게 목표다. 소재 이미징 연구에는 기본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이 활용된다. ... ...
김현진 서울대 교수, 국제로봇자동화학회 무인비행체분야 최우수논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공대는 김 교수 연구팀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중국 시안에서 열린 국제전기전자
공학
회(IEEE) 산하 ICRA에서 이같이 상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 ICRA는 매년 상반기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로봇 학술대회다. 연구팀은 로봇팔을 부착한 비행형 매니퓰레이터를 개발해 발표했다. 비행형 ... ...
줄기세포로 사람 소장 상피 조직 세계 첫 개발…신약 인체 흡수 평가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약물 흡수 평가가 가능해 신약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손미영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로 2차원 소장 상피 모델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3차원 장 오가노이드를 2차원 상피 모델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한 ... ...
경제 발전한 도시가 녹지 더 많고 시민도 행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사이언스 그룹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정우성 포스텍 산업경영
공학
과 교수, 원동희 미국 뉴저지공대 교수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인공위성 이미지 빅데이터를 활용해 세계 60개국의 도시 녹지 공간을 찾아내고 녹지와 시민 행복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국제 ... ...
대장균이 무지갯빛 색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활용되는 소수성 천연 색소에 주목했다.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인 ‘대사
공학
’을 이용해 카로티노이드 계열 색소인 아스타잔틴(빨강), 베타-카로틴(주황), 제아잔틴(노랑)과 비올라세인 유도체 계열 색소인 프로비올라세인(초록), 프로디옥시비올라세인(파랑), 비올라세인(남색), ... ...
[과기원은 지금] 손목시계 돌리는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제공 ■ 김회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
공학
전공 교수팀은 금속유기골격체(MOF)를 넣은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가방이나 신발같은 사물이나 신체 부위에 고정해 움직임이 발생할 때 나오는 마찰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한다. 계산기나 손목시계같은 작은 ... ...
5분만에 코로나19 검사하는 PCR 기술 국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7
유전자를 검출하는 실시간 유전자증폭(PCR) 기술이 개발됐다. 정기훈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빛을 흡수해 열을 발생시키는 나노 플라즈모닉 구조를 통해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유전자를 정량 검출하는 실시간 PCR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바이러스 감염병 확산 방지를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