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거주지로 삼고 정착하기 유리했기 때문이다.아직도 우리는 녹둔도를 지리적으로
정확
하게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동해 진출을 염원하며 두만강 하구에 새 항구를 건설할 태세다. 남한과 북한을 잇는 경의선이 개통되고 경원선이 연장되면서 북한의 라진, 선봉을 거쳐 두만강 하구를 ... ...
태권V 이단옆차기 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위해서는 큰 힘을 내면서 매우 빠르고
정확
하게 작동하는 구동시스템과 로봇의 자세를
정확
히 인식할 수 있는 정밀 관성센서, 힘/모멘트 센서들이 필요하다. 또한 실시간으로 사물과 사물의 속도, 거리 등을 인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듬도 개발해야 한다.매우 역동적으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 ...
논리는 수학자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채 신뢰도가 보증되지 않은 시뮬레이션으로 결과를 추정합니다. 그러나 함수해석학은
정확
한 증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논리가 엄밀하고 깊이가 있는 것이 예술과 같습니다.”그가 펴낸 ‘집합론 입문’에는 ‘수학자와 철학자, 전산학자, 언어학자를 위한 책’이란 부제가 달려있다. 함수해석학의 ... ...
디지털패션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사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따라 주름이 생겼다가 펴지기를 반복한다. 이런 특성들을
정확
하게 표현할 미분방정식을 세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미분방정식을 세우는 것 못지않게 푸는 것도 어렵다.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고, 여러 방법을 동원해 해를 구하다 보면 원래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현상수정의 압전기 효과를 이용해서 만든 시계 종래의 기계시계에 비해 약1백배의
정확
도를 갖고 있다전기신호를 통해 그림이나 문자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통신 방식액틴은 근육 등 세포를 구성하는 단백질 세포를 구성하기 때문에 구조단백질이라 부른다 액틴 세포골격이란 액틴에 의해서 ... ...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수세식 변기를 사용한다. 앉는 곳은 지름이 10cm 정도이고 뚜껑이 닫혀 있다. 배설할 때
정확
하게 시간에 맞춰 변기 옆의 버튼을 누르면 뚜껑이 열리면서 대변을 빨아들인다. 휴지와 대변은 모아서 지구로 가져온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기상천외한 우주월드컵 1. 중력 이기며 공중전으로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없을것같던 대기의 변화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되었지요. 미래에는 매일의 날씨를
정확
히 알고 다양하게 현실에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마어마한 피해를 주는 기상재해까지 미리 예측할 거예요. 그것이 바로 미래의 기상정보시스템이 향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아닐까요 ... ...
조선의 기계식 시계 '자격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아기자기함이 너무나 놀라워 모든 이가 감탄을 금치 못했다고 합니다. 이 자격루는 그
정확
성을 인정받아 조선의 표준시계로 쓰였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져 그 진면목을 확인할 길이 없어 아쉬울 따름입니다. 시간의 중요성을 일찍 깨닫고 그것을 우리의 독창적인 발명품으로 이루어 낸 ... ...
기획2. 컴퓨터 가르치며 내가 배운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위해서는 인공지능 분야의 발전이 필수적이며 학습자의 반응을 토대로 개인차를
정확
히 예측하기 위한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효율적인 이야기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작가와 발달심리학자도 참여해야 한다. 롤플레잉 게임역할을 수행하는 놀이를 통해 캐릭터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깨알을 집을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더구나 깨알 수천 개를
정확
하게 한 줄로 늘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젓가락질 고수’에 가깝다.여기서 조금 더 나가보자. 머리카락 굵기의 1만분의 1밖에 안 되는 입자를 원하는 모양대로 늘여 세운다면?나노입자제어기술연구단을 이끄는 서울대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