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내각의 크기가 60°인 정삼각형 2개와 한 내각의 크기가 120°인 정육각형 2개를 모으면 한 점에서 모이는 내각의 합(60°+60°+120°+120°)이 360°가 돼 준정다각형 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 정삼각형과 정육각형을 번갈아가며 배열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준정다각형 테셀레이션을 만드는 ... ...
- [과학뉴스] 1889년 고흐의 방 진짜 벽 색깔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인스티튜트 프란체스카 카사디오 박사팀은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쓴 편지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그가 “가구는 노란색이며, 침대보는 빨갛고, 벽은 라일락색”이라고 적은 것이다. 연구팀은 벽 부분에 색칠된 파란색 물감을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실제로 미량의 분홍색 물감이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더 큰 문제는 한창 창의성을 발휘할 젊은 과학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를 할 수 없다는 점이다. K박사(물리학분야 연구교수)는 유행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을 꼬집었다. “학계 유행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연구를 하면 당연히 논문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당장 2~3년만 논문이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산소 농도, 당 농도, 온도, pH와 같은 환경요소를 입력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첼로는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고 밝혔다. 입력 값을 받는 건 환경요소에 따라 발현이 결정되는 유전자다. 예컨대 산소가 높고(input A=1), pH가 높고(input B=1), 온도가 높을 때(input C=1)에만 에탄올을 만드는 대장균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금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주사기 몸통에 누런 황체와 난자가 점점 늘었다. 인터뷰 와중에도 그의 손은 말보다 더 빨리 움직이며 신선한 난자를 채취했다. 방해가 될까 얼른 인사를 하고 자리를 떴다. 기자는 그날 밤 맛있게 순대를 먹었다 ... ...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분류돼 왔어요. 하지만 명왕성의 궤도가 타원형이라는 점과 천체의 크기가 작다는 점 때문에 2006년 ‘왜소행성’으로 다시 분류됐지요. 이후 태양계에 존재하는 9번째 행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됐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이 태양계에 9번째 행성이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해조류의 표본을 만드는 방법1. 조류를 핀셋으로 펴서 표본종이에 붙인다. 조류에는 점액이 있어 접착제가 없어도 종이에 잘 붙는다.2. 조류 표본을 종이에 올린 뒤 거즈와 흡수지로 덮는다. 흡수지는 조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3. 무거운 물건을 올려 조류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 ...
- [퍼즐탐정 셜록홈즈] ‘소느로 파머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메고 뛰어내리셔야 합니다. 단, 낙하산이 펴지게 하려면 버튼을 잘 보고 누르셔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MISSION 2. 수상한 원주민이 낸 문제를 풀어라!간신히 낙하산을 펴고 섬에 도착한 썰렁홈즈.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소느로 파머거를 찾아다니던 그때! 갑자기 썰렁홈즈 앞에 웬 원주민이 ... ...
- [수학뉴스] 서울교육청, 특목고와 자사고를 일반고로 통합할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학생이 후기 일반고에 진학했을 때 만족하지 못할 것이라는 거지요.김 교수팀은 문제점을 토대로 개편 방안을 단기와 중장기로 나눠 제시했습니다. 먼저 단기적으로는 일반고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교사 1명당 담당하는 학생 수를 줄일 것을 제안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특목고와 자사고를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공식’, ‘배운 지 오래됐지만 공식을 기억하고 있다’ 등 친숙하고 이해하기 쉽다는 점이 많이 나왔다.최고의 방정식 2위는 ‘상대성 이론’이 차지했다. 최근 중력파의 존재가 입증되면서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공대 출신 군 동기들과 쉬는 시간에 모여 앉아 상대성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