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집이 어려우므로 잘 마른 먼지들로 모은다. 2장 혹은 3장의 지퍼백을 뒤집고 그 안에 자석을 넣어 장벽을 만든다. 지퍼백을 여러 장 겹치는 이유는 먼지가 자석에 붙는 사이에, 만에 하나 지퍼백이 손상되면 자석에 직접 달라붙은 먼지들을 분리하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지퍼백으로 감싼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결할 방도를 해밀턴과 함께 논의하고 싶다고 썼다. “저는 진심으로 바라건대 - 그동안 제게 친절히 응대해주셨을 뿐만 아니라, 해밀턴 박사님의 연구를 존경하는 저로서는 어쨌든 누구나 이따금 실수는 하는 법이니 - 박사님을 공개적으로 망신 주지 않는 방향으로 제 논문을 발표하려 합니다.”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 점에 주목해 노화가 핵막의 물질이동 제한에 기인한다는 ‘노화핵막장애설’을 제안했다6). 노화가 일어나는 세포 활동을 관찰한 결과 세포의 핵 주위에서 세포사멸이나 분열증식과 같은 활성화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견됐다. 핵과 세포질 사이의 수송에서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긴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띄워서 방패로 활용하는 거예요. 다만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우주 정착선이 회전해서는 안 돼요. 우주 정착선이 회전할 경우 암석들이 우주 정착선 쪽으로 끌어당겨져 충돌하게 되거든요. 그래서 이 방법으로 우주 방사선을 막으려면 중력을 만들 방법을 새로 찾아야만 한답니다. △우주 방사선은 ... ...
- 미션! 소파를 옮겨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미해결이다. 아래 그림을 보며 소파 움직이기 문제를 이해해 보자.지금까지는 거버가 제안한 도형이 가장 면적이 넓다. 그런데 최근 댄 로믹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 수학과 교수가 원래 문제를 변형한 문제의 새로운 해결책을 발표했다. 원래 문제는 90°로 한 번만 꺾인 통로를 지나는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위치와 방향을 잘 맞춰야 합니다.보석계 알뜰 살림꾼, 최적화 이론이렇게 정해진 조건 안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를 수학에서는 ‘최적화 문제’라고 합니다.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 값을 구하는 문제도 일종의 최적화 문제라고 할 수 있지요.최적화 문제 중 조건이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상자에 보물이 들어 있을 확률’을 바꾸지 못한다.그러므로 노란 상자가 비었다는 것을 안 다음에도 빨간 상자에 보물이 들어 있을 확률은 1/3이고, 파란 상자에 보물이 들어 있을 확률은 1- 1/3이다. 즉, 파란 상자에 보물이 들어 있을 확률이 빨간 상자에 보물이 들어 있을 확률보다 높기 때문에 나는 ... ...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빛을 발한 사례를 하나 더 소개할게요. 바로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3차원 공간을 안과 밖으로 나누는 이 구는 직관을 비껴가는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고무고무 박사의 위상수학 실험실Part 1. [첫 번째 실험] 바지 입은 채로 팬티 갈아입기Part 2. [두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4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희한하게 꼭 편집장 쪽만 보시면 웃음을 뚝 그치시더라?편 :최 : 집쟝님 때문이라고는 안 했는데.편 :최 : 야옹야옹.2 편 : 옙(YEP)은 어떤 프로그램?이영미 과장(이하 이) : ‘영 익스플로러(Young ExPlorer)의 약자로, 과학동아 독자들이 기사에서나 보던 현대 과학, 공학 연구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 ...
- [과학뉴스] 만성 B형 간염, 잘 안 낫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세계 약 4억 명이 감염된 B형 간염바이러스(HBV)는 치료를 해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만성간염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김균환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마우스 모델과 사람의 간세포를 이용해 HBV가 어떻게 사람의 면역 기능을 회피해 만성 질병으로 남는지를 밝혔다.연구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