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JOB터뷰] 양자전쟁을 무대에 올리다! ‘외계공작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100번 글로 설명하는 것보다 BTS 무대를 보여줘서 한 번에 임팩트를 주며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것처럼요. 관객들이 과학자에게 공감하고, 그들을 이해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과학에 관심을 넓혀나가길 기대해요.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하고 싶으신 말씀?극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갈등 소재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슬픈(?) 실험 이야기부터, 실험 스튜디오 천장을 물들인 버블 이야기까지! 눈물 없인 볼
수
없는 과학 실험 비하인드 스토리, 지금 영상으로 확인해 보세요! ●영상 제목과학 기자들은 이렇게 실험합니다 - 2부●언제?2021년 12월 2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잘 떠요.
수
면과 바닷속을 자유롭게 오르내리는 잠
수
함은 부피가 일정해요. 그래서 잠
수
함 내부 빈 공간에 물을 실었다 빼는 방식으로 깊은 바닷속에 가라앉기도, 떠오르기도 합니다. 절지동물 생물의 분류에서 몸이 단단한 키틴질 외골격으로 둘러싸인 채 여러 개의 관절로 나뉘어 있는 동물을 ... ...
두 번째 방_
수
상한 잡동사니방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서재와 연결된 문을 여니 새로운 공간이 펼쳐졌어요. 언뜻 봤을 땐 잡동사니가 잔뜩 쌓여 있는 평범한 방 같았어요. 알록달록한 블록이 높이 쌓여 있 ... 다른 사람이 찾아내기 힘든 나만의 규칙을 만들면 ‘암호’가 돼요. 아무도 알아낼
수
없게 하려면 매우 어려운 규칙이어야 하겠지요 ... ...
[
수
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단위 사이가 헷갈릴 땐 기호에 주목하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길이 계산을 잘하려면 길이 단위 사이의 관계를 잘 알고 있어야 해요. 이 관계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또다른 방법은 단위 기호가 가진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는 거예요.단위들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꿀팁’을 알아봐요! ...
[이슈] 겨울 스포츠 왕국으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은처럼 반짝이는 날이 달린 스케이팅, 총알처럼 쌩쌩 달려나가는 썰매! 보기만 해도 추운 겨울을 뜨겁게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요. 운동선
수
들은 어떻게 단단한 ... 정확하게 계산해야 해요. 체육학자들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운동을 만들기 위해서
수
학을 이용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어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이상한 얼음 행성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거대 괴물이래. 여기 언어로는 ‘부르르’라고 해.”딱지는 이제야 이해가 갔습니다.
수수
께끼의 구덩이는 부르르가 튀어나올 때 생긴 흔적이었던 겁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공기가 훈훈했습니다. 딱지는 자신이 있는 곳을 둘러봤습니다. 용용이 눈치를 채고 설명했습니다.“여기는 우왁족이 사는 ... ...
[가상 인터뷰] 도마뱀의 비늘에 숨겨진
수
학적 비밀은?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통해 도마뱀뿐 아니라 다양한 동물의 무늬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진화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거래요. 제 비늘 속에 그런 비밀이 숨겨져 있는지 저도 몰랐네요! 이채린 ... ...
[특집]
수
학 X 노래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한마디 해 주세요.
수
학은 그 어떤 과목보다도 노력한 만큼 성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해요. 여러분이 가진 시간은 무궁무진하고 그 시간이 쌓이고 쌓이면 정말 강력해집니다. 그러니 조급해하지 말고 길게 보고, 천천히 나아가세요. 꿈에 그리던 멋있는 자신에 점점 가까워질 ... ...
[기획] 선거 당일, 반드시 투표해야 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바탕으로 지지 성향의 분포와 구조를 바꿔 가며 다양한 유권자 네트워크 구조를 만든 뒤
수
학 모형을 적용했습니다. 그러자 지지율에서 밀리던 후보가 최종 당선되는 뜻밖의 결과가 흔히 나왔습니다. 특히 지지율이 낮은 후보의 지지자가 승부를 박빙으로 생각하고, 지지율이 높은 후보의 지지자가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