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미국의 젖줄은 미시시피 강입니다. 미시시피 강은 나일 강, 양자 강, 아마존 강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강으로, 전체 길이가 6000km에 이르는데요. 본류는 미국 북부 미네소타 주에서 발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SAFL)는 바로 미네소타 주 최대 도시 미니애폴리스에 ... ...
-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자 아니랄까 봐 장난감을 수학적으로 연구하고, 수학 이론을 토대로 전략을 짜서 세계 신기록에도 도전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디스트로이어를 9분 31초 만에 완성했어요. 블록 3152개를 8개 팀이 나눠 조립한 결과 세계신기록을 세운 거예요. 많은 사람이 참여했다고는 하지만 보통 11시간 걸리는 모형을 10분 만에 조립했다는 건 놀라워요. 더 신기한 것은 10분 안에 레고를 완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3주 동안 수학 수업을 듣고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를 이끌어냈고, 아주 나중에서야 기존에 있던 이론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그로텐디크는 몽펠리에대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강의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학기 초에 교과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훑어보고 모든 지식을 흡수했기 때문에 수업을 들을 필요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1950년대 말부터 응용물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미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전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정리로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퍼져 독자적으로 발전했고, 1차 세계대전 때 영국 군인들이 다른 나라에 전파하면서 세계로 퍼져 나갔어요. 활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던진다는 것만 빼면 다트는 양궁과 매우 비슷합니다. 다트 보드라고 부르는 과녁을 향해 다트를 던지고, 다트가 박힌 영역에 해당하는 점수를 얻는 방식이니까요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인 물은 수직방향으로 다시 바다를 향해 흘러나간답니다(위 사진 화살표).해빈 커습은 세계 곳곳의 해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우리나라의 동해안에서도 발견되지요. 단, 국내의 해빈 커습은 사진만큼 굴곡이 뚜렷하진 않답니다.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 과학자들이 수십 년간 이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레스가 로마 신화 속 곡물의 여신인 ‘케레스’에서 따온 만큼 세레스의 지명도 전 세계 농업의 신들 가운데 고르기로 방침을 정했다. 슈뢰더 박사는 “세레스에 있는 수천 개의 크레이터 중에서 ‘볼더’라는 둥근 암석이 특이하게 분포된 크레이터에 자청비를 제안했다”며 “평소 한국의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드밴시스’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전 세계 언론으로부터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 분화에 영향을 미칠지 묻는 e메일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오펜하이머 교수는 자연지진과 화산 분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통계적인 연구 결과를 언급하며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Machine Interface) 또는 뇌-컴퓨터 접속(BCI·Brain-Computer Interface)이라고 불리며 실제로 전 세계 많은 뇌공학 연구소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물론 영화에 등장하는 수준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우선 ‘뇌의 언어’를 이해해야만 한다. 지난 100여 년의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