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 행성의 공진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시아노박테리아, 남세균, 스트로마톨라이트시아노박테리아 또는 남세균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균(박테리아)이다. 남세균은 이 세균의 색이 푸 ... 시기에는 몸 표면이 연약한 다세포 생
물
이 많이 살았다. 다가올 고생대 캄브리아기의 생
물
다양성의 대폭발을 예고한 것이다 ... ...
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산소도, 소금도 우리 몸에 들어오는 방법과 그 양에 따라 독이 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물
질이 독이 될 수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그 중 가장 강한 독은 무엇일까. 그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이 독은 어떻게 해독할 수 있을까. 이번 특집에 이 모든 궁금증에 대한 답을 담았다. 지금부터 ‘독한 독’의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문제에 대해서는 의견이 모이지 않고 있다. 유
물
을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측은 유
물
을 인양해서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타이타닉이 가라앉은 곳을 일종의 무덤으로써 놓아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양측 모두 타이타닉 본체를 인양하는 데는 부정적이다. 당분간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느꼈을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알아냈다”며 “임상실험이 어려운 경우에 동
물
용 MRI로 많은 실험이 가능하다”고 말했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는 올해 말에 인체용 7T MRI도 들여온다. 전 세계적으로 약 40여대 밖에 없는 신형 MRI로 우리나라에서는 가천의대 뇌과학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설마 이게 다 꿈?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게 신기하다고 감탄하고 있었는데…. 따뜻한
물
로 샤워를 마무리하고 나오면서 문득 우리 집은 언제 태양 에너지만을 이용해 살 수 있을지 생각해 봤어. 만약 그게 가능하다면 앞으로 전기나 가스가 다 닳아 없어질 걱정은 안해도 되지 않을까? 더불 어서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쟁 희생자의 80%가 이 가스로 죽었다. PFIB는 최근에 알려진 질식가스로 같은 시간내 독성
물
질이 포스젠보다 10배나 더 많이 나온다. 따라서 극히 적은 양으로도 사람을 무력화시키는데다 방독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더욱 위협적이다. 질식가스 역시 해독제는 없지만 응급처치를 위한 약은 있다.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흉내내기 위해 여러 가지 첨가
물
이 들어간다.임 연구원은 “식품첨가
물
로 허가를 받은
물
질은 법적 허용기준치 안에서 먹을 경우 인체에 해가 되지 않지만 반복해서 다량 섭취하면 해가 될 수 있다”며, “이번 사건은 모조치즈가 문제라기보다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데 문제가 ... ...
한번 겪은 가뭄 두 번째는 낫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의 마이클 프롬 박사는 “이 연구를 가뭄에 잘 견디는 작
물
의 교배나 유전자 조작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3월 1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물
방울의 모양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졌다. 절연체를 씌워 전자의 이동을 막았기 때문에
물
이 전기분해될 걱정도 없다. ➌ 일렉트로웨팅의 생활 속 침투!① 줌인 줌아웃이 가능한 휴대 전화휴대전화의 카메라는 줌기능이 없다. (…중략…) 액체렌즈를 사용하면 이런 불편함이 사라진다. 렌즈의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즐기는 독자라면 누구나 흥미를 가지며 기사를 읽어보려고 할 것이다.
물
론 건축
물
설계에 따른 음악 파동의 움직임과 원리를 설명하는 것은 과학 기사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과학 원리를 먼저 장황하게 설명하는 것보다 독자의 시각에서 공감대를 이끄는 방향으로 기사 구성을 하는 게 좋다. 특히 10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