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1093원으로 계산했고, 블랙 팬서 재산의 99% 이상이 비브라늄이므로 비브라늄의 가치만 계산했다. 마침내 끝판왕이 온다마블 시리즈에서 각자 활동하던 영웅들은 가끔씩 어벤져스 시리즈를 통해 한 데 모인다. 블랙 팬서를 꼭 봐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어벤져스 세 번째 시리즈인 ‘어벤져스: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뽑힌 경우는 역대 세 명밖에 없을 정도로 매우 드뭅니다. 그 중 두 명은 필즈상 수상자인 만큼 혁혁한 공을 세워야 가능하지요. 이런 프로그램에 선정됐다는 건 프린스턴 고등연구소가 허 박사의 가능성을 높게 사고 있는 겁니다. 허 박사는 필즈상 수상 여부와 관계없이 초청강연자로 브라질에 ... ...
- [과학뉴스]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호’가 카이퍼벨트에서 지구를 촬영한 것으로, 1990년 2월 14일 지구로부터 60억 6000만km 떨어진 거리에서 찍은 것이었다. 뉴호라이즌 탐사책임자인 앨런 스턴 사우스웨스트연구소 박사는 “뉴호라이즌은 명왕성과 카이퍼벨트 천체를 탐사한 최초의 탐사선인 동시에 가장 빠른 탐사선”이라며 “이제 ...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움직임을 조종하면서 동시에 입자가 산란시킨 빛을 이용해 원하는 형태의 영상을 만들었다. 부유입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다. 약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정도의 부유입자가 픽셀 역할을 한다. 스몰리 교수는 “빛과 입자를 이용해 공중에서 3D프린터로 원하는 ... ...
- [과학뉴스] 디카로 찍은 원자 하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박사가 찍은 ‘이온트랩 속 단일원자(Single Atom in Ion Trap)’다. 사진 속 장비는 기압이 100만~100억 분의 1mmHg(수은주밀리미터) 이하인 초고진공 상태에서 전기장을 걸어 금속 전극 사이에 원자를 띄워 놓을 수 있는 ‘이온트랩’이다. 가운데 연필 두 자루가 마주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바로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했습니다. 사람마다 사랑의 표현 방식은 제각각 이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아주 작은 행동에서도 사랑을 느낀다고 하니, 이 연구 결과로 남자친구를 설득해보는 건 어떨까요. 조금 더 적극적으로 행동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입니다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온라인 지불 시스템으로 결제하고, 디디추싱(DiDi Chuxing)으로 차량을 공유하는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지난해 중국 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 업무회의에서 ‘과학기술혁신 2030 중점 프로젝트(과기혁신 2030)’ 가동을 공표했다. 선진국 따라잡기에서 벗어나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의 도약을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전자부품을 이용해 수 백 종의 전자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수많은 DNA 부품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생물 시스템은 우리의 상상력에 달려 있습니다. 박홍재고려대 계산및합성생물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DNA를 읽고, 쓰고, 고치는 분자적 기법을 균류에 적용해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저는 ‘회로장이’입니다.” 이정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회로장이’는 전자회로 전문가를 빗댄 표현이 ... 교수는 “앞으로 크기와 발열량을 더 줄여서 인체에 무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자들은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수치모델을 점점 정교하게 만들고 있다. 가령 극지는 우리가 살고 있는 중위도와 달리 지면이 대기보다 차가운 날이 많다. 지면 근처의 대기 구조가 중위도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 모델링이 불확실하다. 이때 관측 자료를 넣어 수치모델의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