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세포를 BrdU에 잠시 노출시키면 세포를 BrdU로 표시하는 게 가능합니다. 표시를 충분히 한 뒤에는 BrdU 주입을 멈춥니다. 그 이후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세포에는 BrdU가 들어가지 않고 세포가 직접 만든 DNA 염기가 들어가게 됩니다. 결국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일수록 BrdU를 빨리 잃고, 느리게 분열하는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과학동아리 2~3개를 생각해뒀다가, 면접 날짜가 겹치지 않는다면 면접을 모두 본 뒤 가장 희망하는 동아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인원 제한으로 원하는 정규동아리에 탈락하더라도 너무 낙담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율동아리를 신청해 스스로 동아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학교별로 차이가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죽다 살아난 폭탄먼지벌레는 전체의 43%에 해당해요. 또 두꺼비가 폭탄먼지벌레를 삼킨 뒤 뱉기까지는 12~107분이 걸렸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뿡뿡!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초전도 슈퍼콜라이더(SSC)’ 건설을 추진하다가 막대한 건설비용에 발목이 잡혀 10년 뒤 계획이 폐기됐다. 현존 세계 최대 입자가속기이자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발견하며 유명세를 탄 유럽의 ‘강입자가속기(LHC)’는 1984년 처음 구상을 시작한 이후 1998년에야 첫 삽을 떴다.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때다. 브라키오사우루스는 긴 목을 꼿꼿하게 세워 나무 꼭대기에 달린 나뭇잎을 따먹은 뒤 소처럼 천천히 우물우물 씹어 먹는다. 하지만 이 장면 역시 과학적으로는 옥에 티다. 공룡이 무엇을 어떻게 먹었는지는 이빨화석을 보면 알 수 있다. 벨로시랩터와 알로사우루스 등 육식공룡의 이빨화석은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당시 우리가 큰 지진이 발생할 거라고 예상했던 것은 아니었다. 지진이 발생한 뒤 미리 설치한 지진계를 통해 관측한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규모 5.4의 포항지진 본진과 6회의 전진이 발생한 위치는 물 주입을 위해 뚫은 두 개의 시추공 위치와 거의 일치하고, 지진의 발생 깊이는 시추공의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3. 경주 방폐장의 ‘사일로’ 시설. 원전 시설 해체 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밀봉한 뒤 저장하는 곳이다. 서 부장은 “문제는 북한이 감속재로 흑연을 사용한다는 점”이라며 “이 같은 방식이 경수로 원자로에 비해 해체가 훨씬 까다롭다”고 설명했다. 핵분열로 튀어나온 중성자는 매우 빠른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최종 목표는 라온을 문제없이 완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단장은 또 “라온 완공 뒤에도 누구보다 라온을 잘 아는 연구자로서 라온을 보살피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 ...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발표했다. 연구팀은 소행성의 형태와 구조를 재현한 지름 8~10mm 크기의 작은 모형을 만든 뒤 레이저로 파괴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모형 소행성은 지상에서 발견되는 운석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콘드라이트(구형의 감람석과 휘석 알갱이가 들어 있는 운석)’ 형태로, 소행성의 형성 과정까지 그대로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