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d라이브러리
"
데이터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기기 활용법/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아니다. 한글코드의 족보컴퓨터는 아스키(ASCII)라는 미국의 표준코드체계를 이용해 영문
데이터
를 전달한다. 아스키는 7비트 영문코드 1백28개만 정의하고 있는데, 8비트코드에 대해서는 별도 규정없이 역시 1백28자의 확장 영역으로 활용하고 있다.그러나 한글은 영문에 비해 사용해야 할 코드가 ... ...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등을 원활히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으로 이들 공장은 본사의
데이터
뱅크와 대형컴퓨터를 아무런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고 본사에서는 멀리 떨어진 공장에서 보내오는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에게 경영전략을 적시에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더욱 진전되어 해외의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동한 열의 흐름을 기록해둔 소련의
데이터
를 점검하면서부터 시작됐다. 그들은 이
데이터
에 나와 있는 수온이 높은 지역을 1차로 골라냈다. 그리고 이 지역들을 집중적으로 탐사해 들어갔다. 마침내 그들은 바이칼호의 바닥에서 '심심찮은' 고온구역을 찾아냈다. 이곳이 과연 꿈속에서도 찾아헤맨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기술경진대회를 86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소련 중국 동구 등과
데이터
뱅크를 공유해 첨단과학기술정보를 신속히 교환하고 있다. 또 합영법 시행으로 해외 투자자본을 유치해 기술개발을 도모하는 형태도 모색하고 있다.첨단기술발전과정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기술선진국과의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좀 더 정확히 얘기해서 모든 자연과학을 하려면 연구실 안에서 끙끙거리며 몇가지
데이터
를 찾기 위해 하루 종일 매달릴 줄 알아야 한다. 그렇게 애를 쓰면 자연은 우리에게 몇가지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때때로 거기에는 철학이 깃들어 있다.화학의 중요한 개념중 하나인 엔트로피(entropy,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역할을 하는 산업기술정보센터와 한국경제신문사 등을 꼽을 수 있다. DB전송업자는
데이터
통신회선을 가진 VAN(부가가치통신망)사업자를 말하는데 데이콤이나 삼성데이타시스템 등이 여기에 속한다. DB판매대리점은 주로 해외DB를 들여와 국내에 서비스하는 데이콤 매일경제신문사 삼성물산 등이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높다고 한다.이밖에도 각 업체별로 한글어댑터부분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심지어는
데이터
호환성도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업체들간에 컨소시엄을 구성해 각 요소를 표준화하고 각 업체별로 중간재를 전문화시켜야만 국제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 ...
3. 중대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아키텍처에 RISC 기술을 통합, RISC칩을 채택한 최초의 미니컴퓨터업체가 되었고, 뒤따라
데이터
제너럴(DG)과 DEC가 RISC칩을 사용한 신제품을 내놓았다.향후 미니컴퓨터업계는 가격대 성능비 향상으로 시장을 잠식해 들어오는 PC나 워크스테이션의 도전을 뿌리치는 것과, X윈도 시스템과 같이 ... ...
컴퓨터선생님 노릇 고달프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걱정하는 모습을 보았다(그래야 순위가 결정되니까). 외국의 경우 워드프로세서대회,
데이터
베이스(DB)대회 등 실용적이며 현실에 적용되는 대회를 주최한다고 한다. 부각되는 코스웨어 개발2~3년 사이 갑자기 교육계에서 부각되기 시작한 말이 코스웨어, CAI(컴퓨터보조학습)다. 정부의 강력한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힘으로 통일돼 있음을 이론적으로 가정하고 있다. 거대가속기에서 나오는 여러 실험
데이터
는 이른바 통일장이론의 확립을 위한 기반이 되고 있다. 결국 물질의 신비를 밝히기위해 소립자의 미시세계를 헤매던 입자물리학자들은 우주 생성의 비밀을 풀기위해 거시세계를 헤매던 천체물리학자들과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