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뇌로부터 나온다는 점은 모두 다 인정하는 사실이며, 최근 사망의 기준도 '뇌사'의 개념으로 다시 정의되고 있다. 뇌가 완전히 파괴되면 우리는 사랑하는 이에게 나의 가장 소중한 것으로 바치겠다고 맹세하던 '하트(heart)'가 아무리 잘 뛰고 있다고 하여도, 더 이상 살아 있는 사람이 아니지 않는가 ...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찾아내는 경우 등이 그 예. 또한 여성은 물건들이 놓인 위치가 바뀐 여부를 잘 기억한다. 개념화 테스트에서는 피험자는 물체의 모양에 구애받지 않고 같은 색의 물체를 열거해야 한다. 언어의 유창도 테스트에서는 같은 글자로 시작되는 단어를 열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같은 테스트에서는 ... ...
- PART 1 PC 이용해 '정보마인드' 키우자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물론 막강한 기능을 가진 이런 종류의 소프트웨어가 쏟아져 나온 미국에서도 그 개념이 정확히 잡힌 것은 아니지만, 대략 주소관리 일정관리 정보관리 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크게 무리가 없다. 즉 시간과 사람이 결합돼 이루어지는 일은 모두 관리가 가능한 프로그램인 ... ...
- 화학- 자연계 모든 물질의 반응물·생성물 평형상태 유지과학동아 l1993년 10호
- 한다. 엔트로피는 다른 말로 무질서도라고 한다. 엔트로피는 확률적인 의미를 지니는 개념이다. 확률이 높은 상태가 낮은 상태에 비해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물질의 변화는 확률이 높아지는 상태, 즉 엔트로피가 커지는 방향으로 일어난다.기체의 팽창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 한쪽에 있던 ... ...
- 형태 색깔 등 분야별로 전문처리 네트워크 구성해 바깥세계 이해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년대에 처음으로 행해진 이 연구에 기초, 시각영역에는 시각처리기능이 전문화돼 있다는 개념을 제안했다. 즉 시각세계 중 색, 형태, 운동 그밖의 시각세계의 속성도 각기 다른 부위에서 처리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이들 전문화된 영역은 V1에서 신호를 받으므로 V1도 전문화 돼 있을 것이다. ... ...
-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과학동아 l1993년 10호
- 파장이 짧고 투과력이 강한 응용분야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감마선. 하루에 한번꼴로 거대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우주감마선의 정체는 무엇일까. 최근 천문학자 ... 더욱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아무튼 우주 감마선의 실체가 밝혀지면 우리의 에너지 개념은 커다란 변혁을 가져올 것이다 ...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과학동아 l1993년 10호
- PROLOG는 일본의 제5세대 컴퓨터 개발에 직접적인 동기를 부여하기도 했다.이처럼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 언어를 개발해 컴퓨터 분야의 이론 발전에 기여한 바가 대단히 크다. 그리고 유럽에서 유일하게 BULL사가 대형컴퓨터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 회사는 우리나에도 강남에 지사가 나와 있다. 또 ...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공간이란 물리적 존재(physical observable)가 아니고 사람마다 느끼는 형이상학적(methaphysical)개념에 불과하다. 시간과 공간이란 단지 우리가 인식 속에 그어놓은 눈금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도 우주는 존재하는 것이다. 어느날 갑자기 우주 전체에서 시계가 ...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뒤틀리는지를 다루고 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힘으로서의 중력 개념을 완전히 배제했다는 데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중력을 힘으로 생각했던 과거의 사고 대신에 리만이 제시하는 굽은 공간을 내세웠다. 항성과 행성같은 천체들은 자신들의 중력으로 인하여, 주위의 공간을 ...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창발적 행동(emergent behavior)이라는 의미다.창발적 행동은 인공생명의 기본이 되는 핵심개념이다. 따라서 인공생명에서는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이 생명체의 행동을 보여줄 수 있도록 구성요소를 조직할 수 있다면 그 기계가 생명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테면 구성분자를 적절한 방법으로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