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195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로 본 독도… 해양과기원 ‘독도바다, 숨어있는 숫자’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조사하고 연구한 결과를 숫자를 활용해 독도에 대한 단편적 결과 나열이 아닌 알기 쉬운
형태
로 묘사한 게 특징이다. 해양과기원 측은 독도의 키다리 1m 대황 해조류, 91개 독도 섬 가족, 독도 해저영토는 육지의 3500배, 가장 젊은 독도 189만년 등 다양한 과학적 사실과 연구결과를 숫자로 풀어내 ... ...
[미래융합포럼] 경기력 높인 점프용 스키·한옥 짓는 소나무 파우더…'융합'이 빛나는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개발한 성과를 발표했다. 현재 산업 분야에서 3D 프린팅 소재는 주로 가루나 액체
형태
의 금속과 플라스틱이다. 이런 소재에 열을 가하거나 접착제를 더해 3차원으로 사물을 쌓는다. 하지만 3D 프린팅 잉크 재료나 접착재료에는 유해물질이 많고 미세먼지를 발생할 위험이 있다. 문 센터장은 ... ...
한미약품 "美 바이오기업서 먹는 면역항암제 도입"
연합뉴스
l
2019.12.04
한미약품에 따르면 이 후보물질은 면역세포의 암세포 공격력을 활성화하는 먹는
형태
의 면역항암제다. 현재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1/2상을 진행 중이다. 임상 2상의 일부 결과는 2020년 상반기에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한국과 중국에서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 ...
벌새·딱정벌레 닮은 생체모방로봇 미래전 양상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순 없지만 곤충의 비행효율은 매우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군집
형태
로 활용할 수 있는 소형 생체모방 로봇은 정보 수집에도 유리하고 여러 개체가 임무수행을 하기 때문에 임무 성공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왼쪽은 중국에서 개발한 도브드론이며 ... ...
[대한민국 산업기술 100장면] 1960~1970년대 과학기술 연구기관-인재 인프라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하지만 1960년대 중반까지 국내 과학기술연구소는 대체로 국공립 기관
형태
였다. 전문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연구기기와 시설, 인력 등 연구 인프라가 낙후돼 있었다. 정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과 함께 공업화를 뒷받침할 기술 연구 개발을 위해 KIST를 세웠다. 그후 정부는 KIST 설립 ... ...
우주공장 짓는다면 1호 제품 후보는?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내부가 텅 빈 방 모양의 구조와 관을 만들 때 지구의 중력 때문에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
형태
가 무너지기 일쑤다. 중력이 적은 ISS에서는 이런 우려가 없다. 지난 7월 미국의 스타트업 테크샷과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ISS에서 실제로 심장 근육을 일부 3D 프린터로 만드는 실험을 했다. 다음 실험에서는 ... ...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만든 서울의 화분매개자 서식지 지도 '시민과학의 위대한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30
시민과학은 과학을 연구자의 영역에 가두지 않고, 시민들이 직접 연구에 참여하는
형태
의 과학 연구 방식이다. 넓은 지역에서 생태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생태학이나 사람이 하나하나 살펴봐야 하는 천체 사진 분류 등의 분야에서 시민과학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해외에서는 200 ... ...
[인류와 질병] 우리는 왜 위험한 선택을 할까···질식분만의 진화
2019.11.30
그래서 인구집단 전체의 신장을 그래프에 그려보면 평균을 중심으로 높게 솟은
형태
를 취한다. 신생아 체중도 그렇다. 약 2.5~5kg 사이에 수렴한다. 이보다 작거나 크면 생존률이 크게 떨어진다. 그런데 제왕절개가 보편화되면서 아주 작은 아기나 아주 큰 아기도 살릴 수 있게 되었다. 작은 아기 ... ...
인간 막단백질 접힘 경로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2단계 모델을 통해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리보솜에서 합성된 아미노산이 안정적인 나선
형태
를 이룬 뒤 막에 삽입되는 첫 단계를 거쳐 삽입된 나선들이 상호작용해 구조를 이루는 2단계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나선 막 단백질의 이같은 접힘 현상을 직접 관찰하려는 연구를 해왔지만 실험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염증이 알츠하이머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큰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로 추측되고 있다. 베타 아밀로이드는 뇌 속에서 응집(플라크)
형태
로 뭉쳐있고 타우 단백질은 과인산화되며 신경섬유 속에 축적된다. 뇌 속에 존재하는 방식은 다르지만 둘 모두 신경퇴행성 뇌질환과 인지 기능 저하를 일으킨다. 다만 둘 사이의 연관성은 아직 잘 알려지지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