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뉴스
"
프로젝트
"(으)로 총 3,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알파고 2승] AI, 그 끝은… ‘인공두뇌’
2016.03.11
계획이다. 미국도 2년 전 총 1억 달러(약 122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입하는 ‘오바마 뇌
프로젝트
’를 시작했다. 유럽연합과 비슷한 방식으로 정밀한 뇌 지도를 만드는 게 목표다. 이지수 KISTI 슈퍼컴퓨팅본부 책임연구원은 “먼 미래에는 결국 인간의 뇌 기능을 흉내 낸 강한 인공지능이 개발될 ... ...
이세돌과 대국하는 ‘알파고’, 출생의 비밀
2016.03.08
통해 최선의 길을 찾아가는 방식의 알고리즘을 뜻한다. 핵폭탄을 개발하였던 맨하탄
프로젝트
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이 알고리즘은 모나코의 카지노 이름에서 유래 되었다. 무작위 시뮬레이션이라는 방식은 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의 수보다 더 방대한 바둑의 수를 탐색하기엔 적합하지 않아 ... ...
헉! 미세먼지가 알코올 중독보다 더 위험
2016.03.07
연구 결과를 내놨다. 미국 워싱턴대 건강계측평가연구소 국제질병부담평가
프로젝트
(GBD) 연구진은 지난달 12일(현지시간)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전 세계에서 매년 550만 명이 매연과 황사, 미세먼지 등 공기오염으로 사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알코올 중독과 ... ...
[프리미엄 뷰]‘갤럭시 S7’으로 제주도의 낮과 밤, 그 감성을 마음껏 담다
동아일보
l
2016.03.07
조명이 어두워지는 순간에도 초점을 놓치지 않고 빠르게 피사체를 포착한다. 이번
프로젝트
에 참여한 세 작가는 각각 ‘제주의 色’ ‘제주의 생명’ ‘제주의 길’이라는 콘셉트로 제주도의 변화무쌍한 자연과 신비로운 야경 등 기존의 스마트폰으로 촬영하기 어려웠던 역동적인 모습을 ‘갤럭시 ... ...
우주는 지금 ‘양자통신 전쟁’ 중
2016.03.04
대한 공로. 그는 6월 중국이 세계 최초로 발사하는 ‘양자통신실험위성(QUESS)’
프로젝트
책임자다. 판 교수는 최근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지상에서 1200㎞ 떨어진 거리에서 위성을 이용한 무선 양자통신을 시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최장 기록은 2007년 독일의 144㎞다. 중국이 ... ...
국내 연구진이 헬스케어 제품 표준기술 개발
2016.03.03
국제표준이 없어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ETRI 측은 이 기술을 이용해 오픈소스
프로젝트
인 아이오티비티(IoTivity)에 현재 개발중인 헬스케어 표준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했다. ETRI 측은 이 기술표준을 사물인터넷 표준화 단체인 ‘오픈 인터커넥트 컨소시엄(OIC)’에 등록시키기 위해 ... ...
현대車 “미래 자유로운 이동 혁명 이끌 것”
동아일보
l
2016.03.02
무대에 오르지 않고 영상을 통해서만 메시지를 전달했다. 정 부회장 대신 무대에 올라 ‘
프로젝트
아이오닉’을 설명한 이는 세계적인 금융 재벌인 로스차일드가의 막내아들이자 탐험가이면서 환경운동가인 영국인 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였다. 그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활동을 통해 전 세계에 ... ...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②] ‘뼈가 들려준 이야기’의 저자, 법의인류학자 진주현
과학동아
l
2016.03.01
경우 7000명 가운데 700명이 같은 유형을 지니고 있을 정도였다. 2011년 10월, 진 박사가
프로젝트
에 합류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로 유형을 나누고 전사 지역 별로 재분류해 700명 정도의 유해를 추렸다. 이 유해로부터 핵 DNA를 추출해 신원을 확인하기 시작했다. 최신 기술이었다. 이렇게 해서, 작년 ... ...
2020년 달탐사에 NASA기술 공유 가능
2016.03.01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협정 체결 이전에는 기관 간 협력의향서(LOI)를 교환한다 해도
프로젝트
내용이 기관의 권한을 넘어서는 부분이 잦아 추가 절차를 논의해야 했다”며 “앞으로 협정을 토대로 신속하고 포괄적인 기술 협력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미국과의 우주 기술 협력을 ... ...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2.27
곳을 샅샅이 뒤졌다. 로웰이 방대한 기록70을 남기고 1916년 사망한 뒤에도 행성 X 탐사
프로젝트
는 이어졌다. 14년 뒤 24세의 클라이드 톰보가 로웰의 자료를 바탕으로 명왕성을 발견했다. 클라이드 톰보는 퍼시벌 로웰이 남긴 천체사진 자료를 분석해 명왕성을 발견했다. 사진의 화살표가 가르키는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