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뉴스
"
주장
"(으)로 총 5,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완벽하고 건강한 식단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지방과 탄수화물의 비중을 개인의 상황에 맞게 조절하면 최적의 식단을 짤 수 있다고
주장
했다. 연구진은 더 건강한 식단을 권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탄수화물과 지방 비율의 식단이 칼로리 섭취에 관계없이 신체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당뇨병의 경우 적당한 탄수화물 제한 이상의 대사 ... ...
페르마 마지막 정리를 풀게 한 숨은 주역이 말했다 "다만 경청하고,풀고,도전했을 뿐"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교수가 타니야마-시무라 추측만 증명하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는
주장
을 제기했다.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은 모든 타원방정식은 모듈러 곡선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때 프라이 교수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타원방정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데, 이 식은 모듈러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중후한 목소리에 끌리는 이유
2018.11.18
이 가설을 처음 제안한 아모츠 자하비는 학계의 인정도 받지 못하고, 상당 기간 요상한
주장
을 내세운 학자로 치부되었죠. 한참 후에 그의 가설을 입증하는 결과가 계속 발표되면 겨우 명예를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최근 남성의 목소리도 핸디캡 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 ...
래프팅하는 개구리들
팝뉴스
l
2018.11.16
보트를 타고 급류를 타고 내려가는 레포츠다. 그런데 개구리들도 이 래프팅을 즐긴다고
주장
하는 사람이 있다. 위 사진은 미국 인터넷 사이트에서 화제가 된 ‘레프팅하는 개구리들’ 사진이다. 두 마리의 개구리가 어떤 물체 위에 앉아 있다. 편안하게 힘도 들이지 않고 떠다닌다. 마치 ... ...
가장 밝은 은하가 주변 은하를 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6
연구원은 “블랙홀의 활동이 그보다 훨씬 큰 은하들의 상호작용과 관련 있을 수 있다는
주장
이 있었는데 이를 관측하기 까다로운 초기 우주에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인상적”이라고 밝혔다. ... ...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난치병 부위에 주입하면 새로운 세포로 자라난다. 황우석 전 서울대교수팀이 개발했다고
주장
했던 ‘환자 맞춤형 배아줄기세포 기술’과 비슷하지만 난자가 필요 없어 윤리문제에서 자유롭다. 다만 이같은 만능세포는 몸속에서 암세포로 바뀔 우려가 있어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일본 ... ...
머리 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걱정없이 듣는 법
수학동아
l
2018.11.11
남아있는 게 원인이라는 것이지요. 끝내지 못했기 때문에 반복해서 생각난다는 게 그의
주장
입니다. 영국 레딩대 연구팀은 껌을 씹는 걸 추천합니다. 음악을 듣고 기억하는 뇌의 부위는 청각뿐 아니라 말하기를 담당하는 곳과도 연관돼 있기 때문에 껌을 씹으면 귀벌레 현상을 만들지 못한다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진심이라는 거짓말
2018.11.11
품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신의 진정성을 믿어달라고 하고, 타인은 거짓되었다고
주장
합니다.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는 오세아니아, 유라시아, 이스타시아의 삼국으로 이루어진 미래 세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오세아니아에 살고 있죠. 오세아니아 몇몇 나라에는 ... ...
스마트폰 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11.10
스티브 잡스가 “스마트폰은 3~4인치대로 작아 한 손에 쥐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
했던 것을 고려하면 큰 변화다. 2007년 애플이 ‘아이폰’을 처음 공개했을 때 화면은 3.5인치였다. 이후 스마트폰 화면은 조금씩 커져 2017년에는 스마트폰 화면의 평균 크기가 5.3인치까지 늘었다 ... ...
6개국 과학자 "중성미자 검출기로 비핵화 검증 가능"(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원자로 약 800m 지점 지하에 검출기를 설치하면 원자로 가동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고
주장
했다. 이 기술은 직접 핵시설 안에 들어가지 않고도 먼 거리에서 원자로 가동 현황을 훤히 들여다 볼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이번 기고문의 공동저자인 김수봉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직접 시설에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