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7,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개골 타투'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패러다임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내 배터리를 적용하는 등 BCI 상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달 27일(현지시간) 게재됐다 ... ...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높진 않지만, 앞으로 연구가 활발해지면 비슷한 논의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로제타폴드를 2021년 올해 최고의 연구 성과로 뽑았다. 사이언스 ... ...
"요즘 못 잤구나?" 혈액으로 수면 부족 검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수면을 취하지 않은 사람을 99% 이상의 정확도로 확인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바이오 마커는 생체 내부의 변화를 판단하는 지표 물질이다. 혈당, 단백질, DNA와 RNA 등 다양한 물질이 바이오 마커로 쓰인다. 연구팀은 건강한 ... ...
반딧불이처럼 자체발광 식물, 4월부터 미국서 팔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유전자를 이용해 식물이나 동물 세포에서 빛을 내도록 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8일(현지 시간) 공개했다. 네오노토파누스 남비(학명 Neonothopanus nambi) 등 일부 열대 버섯들은 히스피딘이라는 물질을 산화시켜 빛을 낸다. 연구팀은 다양한 육상 식물에도 ... ...
3월 대한민국엔지니어상에 이덕수·이현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수석연구원은 자동화 솔루션 분야 정보통신(IT) 전문가다. 유럽 표준화위원회가 제정한
국제
표준 규격(CEN/XFS)에 부합하는 금융자동화기기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국내 스마트 현금자동인출기(ATM) 시장의 경쟁력 확보 및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수석연구원은 ... ...
바느질 없이 1분이면 절단 신경 봉합하는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현장에서 수술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왼쪽부터) 손동희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신미경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박종웅 고려대 의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 ...
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복구 프로젝트를 통해 4년만에 건강한 산호초를 형성시킨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현대 생물학’에 공개했다. 손상된 산호초 군락은 생각보다 빠르게 복원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을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구조물 이용한 산호 재건 프로그램...4년만에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멸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변화 요소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직접 체감될 정도의 기후변화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생물 멸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확인되면서 생물종을 보호하는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불임·난임 임신 기회 커질까…체외수정란 기술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0
든 여성도 아이를 가질 수 있는 시대가 머지않아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8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부모가 아닌 쥐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다음 부모쥐의 피부세포에서 추출한 핵으로 대체했다. 그런 뒤 부모쥐의 피부세포 핵을 심은 난자의 ... ...
[특별기고] 55년 전 성공한 달 착륙, 왜 번번이 실패할까
2024.03.10
2032년까지 별다른 우주 탐사 계획이 없다. 한 달이 멀다 하고 탐사선이 발사되고 있는
국제
시장의 흐름과는 상당히 상반된 계획이다. 다누리 탐사선 개발의 주역들도 모두 뿔뿔이 흩어져 각각 다른 부서에서 일하고 있다. 수년이 지나 다시 달 탐사선을 계획해 개발할 때 그때의 다누리 연구자들이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