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출연하는 짧은 영상물도 준비돼 있다. 게다가 이미 지난달 국립 서울과학관에서는 과
학과
음악의 만남을 주제로 실내악단의 연주를 감상하면서 과학의 원리도 설명듣는 과학음악회가 시도됐었는데, 과학음악회는 앞으로도 몇회 더 진행된다고 한다.한국과학문화재단의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높은 셈이다. 그런데 2002년 11월 21일자 ‘네이처’에 실린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 천문
학과
피터 브라운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퉁구스카급 소행성의 충돌 확률이 1천년에 한번으로 줄었다. 그래도 로또 복권 1등 당첨 확률보다는 높다.다른 규모의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확률은 어떨까.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세계 최초의 장기이식용 복제돼지도 한국 과학자가 참여한 합작품이다. 강원대 수의
학과
정희태 교수,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미주리대 연구원 박광욱 박사 등 한국 과학자 3명과 미국 미주리대 연구팀, 바이오벤처기업 이머지 바이오 세러퓨틱스사 연구팀은 2001년 처음으로 장기이식용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독극물 범죄를 저지르려다가 실패한 사건이 있었다. 뉴욕에 있는 한 대학의 인류
학과
학과
장 존 야누시 박사는 대학 연구실에서 마약을 만들다가 들통나 유죄판결을 받았다. 이에 앙심을 품고 연방 판사에게 복수할 계획으로 판사에게 독약을 섞은 초콜릿 상자를 보냈다. 몇몇 초콜릿에는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관여하는 일부 다세포생물의 생식은 단위생식 또는 단성(單性)생식이라고 한다물리
학과
천문학에 사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도 다르게 규정된다 먼저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의 정의는 진동이나 파동과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어떤 시각 또는 어떤 장소에서의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일란성 쌍둥이를 연구해 왔다. 서울대 수의
학과
의 강성근 교수는 “복제인간은 DNA제공자와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만큼, 체세포 제공자와 비슷한 유전적 특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물론 환경의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일란성 쌍둥이 연구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초콜릿의 지방 성분이 심장병과 비만 등을 불러 올 수 있기 때문이다.이화여대 식품영양
학과
이종미 교수는 “초콜릿은 두 얼굴을 가진 식품이다. 모든 식품이 그렇듯 초콜릿도 과도하게 섭취하면 반드시 부작용이 나타난다”며 “건강을 생각한다면 초콜릿을 먹고 싶을 때 어두운 색의 초콜릿을 ... ...
보지 않고 그린 코뿔소가 세상을 속이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대학 1학년 때의 이야기입니다. 기대에 부풀어 나간 미팅 자리에서 미생물
학과
라고 말하면 십중팔구 “그럼 바퀴벌레를 연구하시나요?”란 질문을 받습니다. 일일이 설명 ... 보기 드물게 정면을 향한 자화상에서 뒤러는 무슨 말을 하고 싶었을까요.“ 미대 생물
학과
입니다”는 아니겠죠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1993년 윌 스미스가 주연한 영화 ‘6단계 분리’(six degrees of separation)에는 다음의 대사가 나온다.“이 지구상에 있는 모든 사람은 단지 여섯사람의 타인에 의해 서로 떨어져있을 뿐이란다. 6단계의 분리란 말이지. 우리와 이 세상에 있는 그 어떤 사람과도 단지 여섯사람만 거치면 서로 연결이 된단 말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한다.미국 IBM과 HP에서 반도체 메모리를 연구했던 포항공대 이헌 교수(신소재공
학과
)는“빌 게이츠처럼 개인의 발명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는 생각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국가의 흥망성쇠가 나노기술과 같은 첨단기술을 다루는 과학에 달려있다는 자부심이 과학자에게 필요하다는 말이다. 반도체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