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천적에 먹히지 않는 대신 산란수가 적어진다는 것은 개체군(個體群)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
하는 다른 생물의 특징과 일치한다.한편 패류내에서 어란이 발생해 치어까지 되는데, 단순히 천적으로부터 보호만 받지 않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즉 패류에서 분비되는 어떤 물질이 어류 발생에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신경전달 물질이라기 보다는 이미 확실하게 신경전달 물질임이 증명된 물질들의 작용을
조절
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즉 이제까지는 한가지 종류의 신경세포는 그 신경세포 특이적인 한가지 신경전달물질만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면 코린성 신경에는 아세틸콜린만이 존재하고 가바성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혈압 등을 측정했다.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
되는 심장박동수나 혈당 혈압은 의식적으로
조절
되는 것이 아니며 감성적인 상태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기 때문이다.실험장치와 연결된 사람에게는 40장의 슬라이드가 보여졌다. 10장의 슬라이드에는 절단된 인체나 벌거벗은 장면 등 참혹한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장애물을 미리 알려줘 예기치못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주는 안전기능, 적정한 연료공급
조절
기능, 급제동시 차체가 쏠리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해주는 기능 등을 첨가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줌과 동시에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부단히 전개되고 있다. 특히 환경보호와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찾았고, 다시 신경 세포를 작동시키는 전기화학적원리를 탐구했으며 이제는 그 기전을
조절
하는 유전자의 수준까지 파고 내려갔다.그러나 이러한 접근방법은 마치 저 밀림속에 살고 있는 미개인이 어쩌다 문명인들이 버리고 간 컴퓨터를 찾아내서 껍질을 뜯어본 후 그속에 이리저리 얽혀있는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등 생명기능에 관한 것에 이르기까지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것을 통제하거나
조절
하고 있다.말초신경계는 신경들로 이루어져 있다. 신경은 신체 말단에서 수용되는 감각 정보가 중추신경계에 전달되고 중추신경계가 생성하는 운동의 명령이 신체 근육에 전달되는 통로다.신체의 다른 ... ...
TV화면 보다 선명도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전류가 약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소프트웨어적으로 강제로 해상도를
조절
하는 비디오 에뮬레이션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 한글들은 모니터에게 부담을 주는 것이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인간의 뇌(腦)는 수많은 신경세포로 구성돼 있다. 기본적인 대사(代謝) 및 생활을
조절
하고 모든 정보를 수용해 행동을 결정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반면 행동이란 외부상황에 올바르게 대처하기 위한 행위로서 개체의 사고 감정 및 활동등의 종합체다. 따라서 인간의 이상행동과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종종 생긴다.스트레스도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소화기관의 움직임은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
되는데,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 자율신경이 혼란상태에 빠져 변비를 일으키는 것. 여행 이사 시험 때의 일시적인 변비가 이 부류에 속한다.계속해서 누워만 지내는 사람에게도 변비가 생기기 십상이다.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동시에 발표돼 선풍을 일으켰다. 그후 이 homeobox gene sequence를 이용해 수많은 새로운 발달
조절
유전자들이 발견됐으며, 놀라운 속도로 연구가 진행돼 나가고 있다. 필자는 이 발견후 예일대학의 교수로 와있는 맥긴스의 연구실에 소속돼 이 분야에 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이외에도 호르몬, 성장요소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