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말했다. 최근의 스마트폰이나 구글 검색까지 가지 않더라도, 인류는 사회와 문명을 이룬 이후로는 늘 ‘머리를 덜 쓰는’ 환경에 놓여 있었다는 뜻이다.인류는 문화적 존재다. 문화가 진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머리 덜 쓰는 경향이 몇 만 년 뒤 미래의 지적 능력에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언제나 열려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방향전환을 할 때 목이 다치지 않게 도와준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유선형 외형의 진화는 이후에 등장한 고래나 바다소와 같은 해양포유류에게서도 그대로 관찰된다.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해양파충류와 해양포유류는 골격구조뿐만 아니라 장기 등 기관의 위치까지 서로 비슷하게 변화했다. 201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살구 등의 과일이나 참치 같은 반건조 식품을 레토르트로 포장한 제품이 탄생했다. 이후 미국은 2010년대까지 220개가 넘는 우주식품을 개발했고, 러시아도 100개 이상을 개발했다.한국은 2008년 이소연 우주인 때 볶음김치, 고추장, 라면 등 10개 품목을 처음 개발해 제공한 뒤 점점 품목을 늘려갔다. 201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을 발견하는 일이 그래서 박테리아에서는 가능하다. 조 교수가 2004년 23번째 문을 발견한 이후로 지금까지 3개가 더 발견됐다. 아직도 새로운 문이 70~80개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박테리아는 배양해서 콜로니(집합체)를 형성하기 전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관찰해도 신종인지 아닌지 ...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까시나무 꽃향기를 맡으며 눈물을 흘리는’ 감성으로 책을 써내려갔다. 이 책의 성공 이후, 다른 출판사에서도 과학책에 감성을 불어넣는 시도를 시작했다. 전 팀장은 “과학책이 점차 따뜻해지고 있다”고 말한다. 냉철한 사고와 과학적 본질만을 추구하던 틀에서 벗어나 우리 삶과 과학의 관계,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죠." 신종헌터인 이 센터장에게 베트남은 '기회의 땅'이다. 2007년 처음 베트남에 들어간 이후 지금까지 현지 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하며 돈독한 신뢰를 쌓고 있다.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되기 한참 전부터 베트남과 이익을 공유하고 있는 데다, 베트남의 자생식물도감도 만들고, 현지 연구자들의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도시계획가에게는 오래된 화두다. 가장 큰 이유는 환경이다. 유럽에서는 산업화 이후 근대 도시가 만들어지면서 인구가 급속히 증가했다. 늘어난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도시는 지상에서 무분별하게 커지면서 확장될 수밖에 없었고(스프롤 현상), 지상은 개발의 이름으로 만신창이가 됐다. 환경은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도 발표했다. 정말 재미있는 건 그 이후다. ‘네이처’에 논문이 발표된 순간, 반대하던 모두가 “정말 좋은 아이디어다”라며 칭찬하는 게 아닌가. 모든 새로운 일은 성과가 나온 후에는 다들 인정해 주지만, 처음에는 아무도 안 도와준다는 사실을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어미가 필요한 이유는 먹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해리 할로우의 실험 이후 동물에게 먹이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따뜻하고 부드러운 스킨십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스킨십하면 스트레스 DOWN! 행복지수 UP!으악~! 내가 사고를 쳤어! 팀을 나눠 축구시합을 하는데 자책골을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18세기 오일러가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다룬 것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1852년 런던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학생인 프랜시스 구드리가 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질문은 바로 “지도를 색칠할 때 인접한 국가를 다른 색으로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