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968년 세계 최초로 맛과 냄새를 연구하기 위해 필라델피아에 세운 모넬화학감각
연구소
는 미각과 후각과 관련된 맛 조절기술에 대한 연구를 7~8년 전부터 진행 중이다. 데시몬 교수와 라이얄 교수팀은 특히 짠맛 조절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들은 우리 팀이 우연히 발견한 ‘짠맛을 내는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심각한 것이 사회에 팽배해 있는 죽음에 대한 오해이기 때문이다. 한림대에서 생사학
연구소
를 이끄는 오진탁 철학과 교수는 “우리 사회에서는 죽음을 이야기하는 것을 금기처럼 여긴다”며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살 같은 어리석은 행위를 저지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진출해야 의미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국판 MIT미디어랩 사업은 졸업생들이 기업의
연구소
나 대학보다는 산업을 이끌만 한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는 리더를 키우겠다는 목적이 크다. 애플과 구글 같은 혁신적인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단지 교육의 효과만은 아니었다. 창의적인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런 부분에 더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미래예측분야 전문가인 미국 랜드
연구소
의 리처드 실버글릿 박사는 “시대가 처한 환경을 어떻게 분석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기술을 어떻게 개발하느냐는 문제보다 환경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느냐가 핵심이라는 것이다. 실러글릿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충돌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NASA는 달의 화학적 변화 역시 분석하고 있다. NASA 제트추진
연구소
벤자민 그린하젠 박사팀은 달 관측위성에 달린 복사계(DLRE)를 이용해 달의 토양이 어떤 성분으로 되어 있는지를 분석했다. 이 장치는 달 표면이 태양열을 받은 뒤 내보내는 적외선을 감지한다.그린하젠 ... ...
고분자나노재료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관련 취업 전망은 매우 밝다. 주로 진출하는 곳은 국공립
연구소
혹은 대기업
연구소
다. 특히 전자, 화학, 화공, 재료, 생명 등의 계열 회사에서 매우 적극적으로 채용 의사를 밝히고 있다. 정유 혹은 화장품 회사로도 진출할 수 있으며, 교육 기관에 남아 후학을 양성할 수도 있다. 취재 한마디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논문을 ‘사이언스’라는 유명한 과학저널에 실었습니다. 그런데 몇 달 뒤 스위스 연방
연구소
의 펠릭스 구걸리라는 분이 이 논문을 반박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1967년에 1만 년 된 씨앗이 발아한 적이 있었다는 놀라운 내용이었어요. 북극루핀이라는 콩과 식물의 씨앗으로 발견된 지층에서 함께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모나리자의 미소는 이렇게 탄생했다. 모나리자는 원래 존재하지 않았다?국내에서 얼굴
연구소
를 이끄는 조용진 한남대 교수(미술해부학 박사)는 7월 17일 일본미술해부학회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유럽 미술사학자들의 주장과 달리 모나리자의 주인공은 ‘처음부터 없었다’는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1968년 세계 최초로 맛과 냄새를 연구하기 위해 필라델피아에 세운 모넬화학감각
연구소
는 미각과 후각과 관련된 맛 조절기술에 대한 연구를 7~8년 전부터 진행 중이다. 데시몬 교수와 라이얄 교수팀은 특히 짠맛 조절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들은 우리 팀이 우연히 발견한 ‘짠맛을 내는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미리 들어가 보는 ‘휴대용 감시 정찰로봇’도 거의 완성단계다. 이 로봇은 국방과학
연구소
(ADD)가 개발 중이다. 탱크처럼 ‘캐터필러’로 움직여 계단도 쉽게 오르내리고, 카메라를 통해 적진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형태의 국산 정찰, 탐사로봇은 ‘롭해즈’가 유명하다. 2004년 KAIST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