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인간은 왜 늙는가. 프로그램설 가처분신체론 등 여러가지 이론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도 수수께끼에 싸여 있는 것이 노화이다. 인간의 수명 연 ... 일본의 시게찌요 이즈미라는 사람이다. 1986년 폐렴으로 죽을 때까지 1백20년 2백37일을
살
았다. 그는 장수한 까닭을 부처님과 태양에게 돌렸다 ... ...
치아 맞물림 부조화가 갖가지 증세 부른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제공, 적응력이 회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마치 피부를 적당한 자극 아래서 단련하면 굳은
살
이 생겨 센 압력에 저항할 수 있고 지나치면 물집이 생기는 것과 비유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는 특히 턱관절 증상 치료에 많이 이용된다 ... ...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땅속에 파고드는 종류들은 오염이 심해져도 그런대로 견딘다. 하지만 지금은 이들도 못
살
겠다고 아우성이다. 공장폐수로 인한 중금속류 퇴적 때문에 3급수 이하에서는 거의 전멸하고 만다.물의 오염도 측정방법을 알아보자. 물이 유기물에 의하여 오염된 정도는 DO와 BOD를 측정하여 판정한다.1. DO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원리를 이용하면 축사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축사에 EM을 2백-5백배 정도로 희석해
살
포하면 유기물이 부패할 때 생기는 악취 물질인 암모니아 가스 등을 먹고 산소를 배출하게 되므로 악취가 없어진다.또 사료를 EM으로 발효시켜 소 1두당 1일 한 주먹(약 20g)씩 기존 사료에 섞어서 먹이면 장내의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7}$m 이다.적외선보다 파장이 짧은 것으로는 X선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투과력이 좋아서
살
속에 있는 뼈의 사진을 찍을 때 이용한다. 파장이 더 짧은 것으로는 방사성 원소에서 나오는 위험한 방사선인 감마선이 있다. 투과력은 X선보다 더 강하다. 아마도 감마선으로 사진을 찍으면 뼈도 보이지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학문적인 설명을 최초로 시도한 인물은 프랑스 수학자인 자크 아다마르이다. 그는 서른
살
무렵인 1898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만일 초기조건에 오차가 있다면 그 계의 행동은 장기적으로 예측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아다마르 논문의 중요성을 이해한 사람은 프랑스 수학자인 앙리 푸앵카레(1854-1912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길고 따뜻한 여름이 필요하다. 그런데 어떻게 칡들이 성공적으로 북쪽 지방에서 옮겨
살
수 있을까? 비밀은 수가 많고 끈질기며 추위에 잘 견디는 칡의 뿌리에 있다. 땅 위의 부분이 추위나 사람들의 제초 작업으로 잘려죽더라도 뿌리는 봄에 새싹을 틔울 수 있다. 또한 이 식물은 하루에 1피트(약 30cm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게임이나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같은 그래픽을 즐기고자 한다면 필수적으로 버퍼를
살
펴야 하는데, 일반적인 크기는 64KB로 이정도는 되야 동화상 처리에 무리가 없다. 1배속과 2배속의 속도는 버퍼가 같은 경우를 상정한 수치임을 생각하면 전송률과 버퍼의 크기가 조화를 이루어야 이상적임을 알 수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백신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앞서 언급한 박시니아백신, 홍역백신, 폴리오백신 등은
살
아있는 바이러스를 약화시킨 생(生)백신이다. 반면 뇌염백신이나 B형 간염백신은 포르말린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사균(死菌)백신이다. 생백신은 접종된 동물세포 내에서 증식하여 지속적으로 항원을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잡아 배 밑에 싣고 필요한 때 잡아 먹었다.이 거북들은 먹이를 주지 않아도 1년 이상
살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인기가 높았다. 이때문에 30년 동안 20만 마리 이상 코끼리 거북이 남획됐다.코끼리거북의 수난은 이것만이 아니었다. 사람과 더불어 들어 온 염소 개 쥐 고양이 등이 거북의 주거지를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